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산업재해

뽀얀사슴벌레152
뽀얀사슴벌레152

산재 신청하는 방법에 대해 도움을 구합니다.

안녕하세요,

8/16 동물병원 근무중 고양이한테 물렸습니다.

근무 중간에 근처 정형외과(산재지정병원 아님)에 가서 소독, 드레싱만 하고 파상풍 주사와 항생제 주사를 맞았습니다. 다음날도 근무여서 근처 병원으로 가서 똑같이 소독 드레싱 후에 항생제 주사를 맞았습니다.

손이 저려 다음날 신경외과를 가서 증상만으로 손가락 신경 손상을 진단 받고 주사를 이틀 더 맞았습니다. 붓기가 좀 빠지고 손이 계속 저려서 신경검사 장비가 있는 다른 병원을 추천받아 또 한번 옮기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동한 병원에서 손가락이 워낙 말초신경 끝부분이라 검사해도 안나올 확률이 크다고 하셨습니다. 검사해보니 실제로 검사로는 손상이 안나왔고 하지만 증상으로 보면 신경손상이 맞다고 하셨습니다. 오늘 그 병원에 다녀와서 추가로 근육수축 진단까지 받았습니다.

제가 궁금한건

1. 산재를 받으려면 이 세 병원의 소견서가 모두 필요한가요?

2. 영상이나 검사는 마지막 병원만 진행했는데 검사상 이상이 없다고 나오면 산재를 받는데 어려움이 있나요?

3. 산재를 받으려면 서류가 어떤게 필요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범철 노무사입니다.

    1. 핵심은 현재 치료 중인 주치의(산재신청 시 산재지정의료기관)의 진단서입니다. 다만, 최초부터 이어지는 치료 경과를 입증하기 위해 초기 진료기록(진료확인서, 약 처방전, 주사 내역) 등을 제출하면 산재 인정에 유리합니다. 따라서 세 병원 모두의 소견서까지 필수는 아니고, 최종 병원 진단서 + 초진 기록 사본이면 충분합니다.

    2. 산재 인정은 반드시 영상이나 검사에서 손상이 확인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주치의의 의학적 소견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3. 산재 신청 시에는 요양급여신청서, 요양급여신청 소견서가 필요합니다. 산재지정의료기관의 경우, 통상 병원에서 산재 신청을 대행해주므로 절차가 비교적 간단합니다. 다만, 요양기간이 4일 이상 필요한 경우에만 산재 신청이 가능하다는 점을 참고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1.각 의료기관의 소견서를 모두 제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2.검사 결과 이상이 없다면 정확한 상병의 특정이 어려워 산재신청에 불리할 수 있습니다.

    3.산재보험급여 신청서, 의료기관의 의무기록과 영수증, 근로계약서나 급여명세서가 필요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