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가을하늘빛
가을하늘빛22.12.14

5살 아이가 자기가 원하는 것을 가지지 못하면 길바닥에서 바로 드러눕네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5살 아이가 자기가 원하는 것을 가지지 못하면 길바닥에서 바로 드러눕네요

요즘 세상은 때릴수도 없고 혼내기도 그렇고 해서

저도 어찌할바를 모르겠네요 ㅠ 어떻게 해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감정을 표현하기 어려울때 뗴를 많이쓰곤합니다

    이럴땐 아이가 어느정도 감정이 진정될떄까지 기다려주는것도 하나의 방법이될수있으며

    장소에 그냥 두기 어렵다면 단호하게 일으켜 세우고 집으로 복귀하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입장에서는 바닥에 드러누워야 자신의 의도를 전달하는 거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드러눕기 전에 먼저 아이가 원하는 것을 해주면 횟수가 줄어들 것입니다.

    그리고 아이의 화난 원인을 파악한 후 그 후에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는 것이 좋답니다.

    서운했거나 속상한 아이의 마음에 엄마가 동감을 해주면 아이는 울음을 터뜨리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어른도 힘들 때 내 편이 되어주면 기분이 풀어지듯 아이의 마음도 똑같답니다.

    울음은 마음속 응어리를 풀어주고 공격성을 줄여주니 꼭 아이의 마음을 달래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이렇게 억지를 부린다면 사람이 없는 곳에 가서

    아이를 혼내시고 집에 오거나 그러하여 아이가 좋아하는 놀이 등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훈육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돌이 지나면서 아이들은 수치심을 느낄수있습니다. 아이를 타인이 있는 곳에서 혼을 낸다면 아이는 수치심에 혼나는 내용을 망각하고 단지 창피함으로만 기억됩니다. 길바닥에 아이가 드러눕는다면 아이를 번쩍 안아서 자리를 이동해야합니다. 사람이 없는 곳으로 가서 아이를 훈육해야 아이가 기억하고 행동을 수정할 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흔히 오해하는 것 중 하나는 아이를 사랑으로 키워야 한다는 것을

    아이가 하고 싶은 대로 다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으로 이해한다는 것입니다.

    아이를 사랑으로 키운다는 것은 오히려 사랑과 지지의 토대 안에서 아이가

    적절하고 바람직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훈육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아이가 하고 싶다고 해서 그것을 허용하는 것보다 지지의 바탕 속에서

    적절히 제어해 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부모의 눈에 사랑스럽다고 너무 사랑만 주고 키우다 보면

    아이는 부모에게 의지하는 삶을 살아가게 되거나 또는 사회에서

    일명 버릇이 없다는 소리를 듣는 아이로 클수 있습니다.

    사랑하지만 잘못에 대해서는 단호하고 때로는 엄하고 스스로 생각

    할수 있는 아이로 키워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행동교정을 위해 바닥에 누울때 마다 적절한 훈육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 훈육에서는 엉덩이나 머리를 때리는 것을 포함해서 체벌을 훈육방법으로 쓰는 것은 어떤 연령에서든지 부적절합니다.

    아이를 때리면 일단 즉각적으로 문제가 된 행동을 멈출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그 행동이 사라지게 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훈육은 반복성이 중요합니다. 행동교정을 위해 바닥에 누울때 마다 적절한 훈육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서희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고민이 많으시겠어요. 문제 행동을 통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아이에게 잘 인지 시켜야 합니다.

    부모님의 인내와 단호한 결단이 필요한 부분이죠. 문제 행동시에는 최대한 감정을 절제하여 담담하고 단호한 어조로 아이를 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원하는 것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현상이기도 해서 평소에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연습을 통해 개선 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표현능력과 방법의 다양화를 위해 평소 아이의 생각을 묻거나 아이의 말에 귀를 기울여 주시고 기다리는 연습을 꾸준히 해주세요. 잘 따라올 경우 칭찬과 보상도 아끼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