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만리경
만리경23.10.13

초중고 아이들과 소통할 때 그방법을 달리해야 하나요

어린 아이들이 자라면 사춘기 성숙기로 접어들텐데 초 중 고 아이들과 소통할때 기본적인 자세는 무엇이며 또 어떻게 다르게 접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13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른 뿐 아니라 아이와 소통할 때의 기본 자세라고 하면 그 사람의 말을 경청하고 공감하는 것입니다.

    즉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래 나도 너만했을 때 그랬었지' 이러한 마음 자세라면 아이와 어떤 주제로도 소통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사춘기의 특성을 인정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 갑니다.

    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에 시달리게 됩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이 되어 동굴 밖으로 나올 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

    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지식이나 주변환경이 바뀌기 시작하기 때문에 아이를 대하는 태도도 바꾸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가 되면 아이는 부모보다 친구관계를 우선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가능하면 아이의 눈높이에서 아이와 친숙하게 할수있는 주제를 정해서 대화를 나눠보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성장하면서 자신의 자아가 정립되기 때문에

    대화시 부모가 어려움을 겪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럼으로 평상시

    대화를 자주 하시어 아이의 심리상태나 고민거리를 파악하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어렸을 때에는 대화로 커서는 대화를 거부하는 경우 편지나 문자 등으로

    아이와 대화를 시도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연령이나 취미등에 맞추고 연령대에 맞는언어선택하여이야기하시면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에 접어든 아이들 그리고 자식들과 소통을 하기 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은 대화 입니다.

    대화를 하면서 가장 기본적인 자세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끝까지 기울여 경청해 주시고,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보면서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아이의 감정을 공감을 해주신 후에 부모님의 의사를 전달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들과 교감이 되고 소통이 되면 아이들과 원만한 관계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 시절에는 아무래도 감성적이고

    공격적으로 변할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아이들의 감정을 어느정도 이해해주셔야 할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사춘기 시기에는

    아이가 예민하기 떄문에 보다 넓은 이해심으로

    접근을 해주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등학교 때는 아이들과 함께 하는 시간을 자주 갖으세요.

    함께 체험활동도 자주 다니시고, 여행도 자주 다니세요

    중학교,고등학교에 다니게 되면, 아이들이 시간이 없어서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이 드물 것입니다

    함께 하는 시간이 줄므로, 밥 먹는 시간만큼 이라도 함께 하십시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중.고 아이들과 소통할 땐, 아이들의 눈 높이에서 함께 해야 할 것 같아요.

    아이의 의견을 존중해 주시고, 항상 대화를 하려는 자세가 있어야 할 것 같아요.

    아이의 성향을 존중해주시고, 늘 아이의 눈 높이에서 소통하려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