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생명화학 초보 너구리
생명화학 초보 너구리

"화학평형이 역반응쪽으로 이동한다"는 의미

어떤 화학반응식에서 생성물을 더 첨가해서 생성물 농도가 증가하면 르샤틀리에 원리에 의해서 화학평형이 역반응쪽으로 이동한다고 하잖아요.

이 때 화학평형이 역반응쪽으로 이동한다는게

  1. 화학평형에 도달하기까지 (역반응 속도) > (정반응 속도)

  2. 화학평형에 도달했을 때 (반응물 농도) > (생성물 농도)

    둘 중 어떤걸 의미하나요?

반응물보다 생성물의 농도가 압도적으로 높다면, 화학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정반응보다 역반응의 속도가 빨라도, 평형에 도달했을 때 (반응물의 농도) < (생성물의 농도) 일 수도 있어서 "화학평형이 역반응 쪽으로 이동한다"라는 뜻이 둘 중 어떤말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화학평형이 역반응 쪽으로 이동한다"는 것은 일시적으로 역반응 속도가 커지면서 반응이 역방향으로 진행해 평형을 회복하려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한 것입니다.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가 어떤 비율을 가지게 되는지와는 독립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