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기특한사슴54
기특한사슴5422.01.21

당신이 그림을 좋아하는 이유는?

그림을 그리다보면 문득 그런 생각이 듭니다. 다른 사람들도 나 처럼 이렇게 심장이 뛰나?

여러분은 왜 그림을 보나요?

왜 그림을 좋아하나요?

왜 그림을 그리나요?

처음 그림에 빠진 이유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말 중요하고도 근본적인 질문이어서 답변하고 싶어졌습니다^^ 이 질문은 오래오래 이야기해볼만한 주제인 것 같습니다. 우선 제 생각으로는 그림이기 전에 인간의 욕망 의지의 일부분으로 보는데 그 중에 영향력이 큰 것같습니다. 저는 어릴적 그림을 잘 그리는 친구를 보면서 같이 그리다가 그림을 접했는데요. 해보면서 흥미가 더해지면서 공부를 하게된 케이스입니다. 그림은 내 상태의 시점에 따라 변화를 가지게됩니다. 현재 내 상태(아는만큼. 감정. 본만큼. 꽂힌만큼)를 반영합니다. 이는 이 상태일뿐 계속 변화해나갑니다. 그래서 저는 그림을 인간의 변화를 보는 중요한 미적철학으로 생각됩니다.

    먼저 그림을 보는 이유는 그림을 보는 것에 흥미를 가졌기때문입니다.

    그림을 좋아하는 이유는 여러갈래로 나눌수있습니다. 그림의 스토리나 해석으로 읽는걸 좋아하는사람. 색감이나 텍스처에대한 감동. 기술적그림에 매진해 열공하고 집중하는사람. 과거의 트라우마를 그림으로 승화하는사람. 등 그외 외적 영향.

    처음 그림에 빠진 이유는 그림을 잘그린다는 주변의 인정에 즐거워 그로인해 더욱 그림을 그리게되었고 그 그림은 더욱 경쟁을 위한구도가되었고 그러다 자신만의 그림에 대해 생각하면서 여러차례 과도기를 겪고 평생을 이 쉽지 않은 미술이 정말 매력적인것으로 받아드리고 즐거움을 넘어서 괴로우면서도 하고있습니다.


  • '나' 라는 자아는 누군가 혹은 무언가와 늘 소통하려 합니다. 그것을 언론학에선 흔히 내적 외적 '커뮤니케이션' 이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사람대 사람만의 개인 집단 간의 소통만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즉, 나와 매체 간의 소통도 있을 수 있는데, 매체의 내용은 글이나 영상, 사진 그림, 그리고 음악의 상징적인 기호로 형식의 틀로 표현됩니다.

    그림은 이처럼 공간적 시간적으로 미술이라는 캔버스 등의 형식 매체로 보여지는데, 다른 글 소리 등의 상징적인 기호가 표현할 수 없는 '아름다움'의 미학적 가치로 나를 안내합니다.

    그러다 보니, 아름다움을 그림이 아닌 글 등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어 그림의 미학적 가치는 거룩함의 영역으로도 이끕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림의 미적인 부분의 시각적인 매료와 더불어

    그림을 그릴 때 자신을 몰두할 수 있는 느낌,

    그런 부분들이 그림에 빠지게 하는 이유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