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교 9산이라는 건 무슨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한국사의 내용에 있어서 5교 9산이라는게 있던데
이게 뭔가요?
무슨 종교,종파 같은 느낌이 드는데 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종래의 일반적인 견해에 의하면, 삼국시대 말기까지 교종 종파인 오교(五敎)가 형성되었고, 신라 말 고려 초에 선종(禪宗)의 구산문(九山門)이 형성되어 통일신라 및 고려 전기의 불교계를 총괄하였다. 오교는 열반종(涅槃宗)·계율종(戒律宗)·법성종(法性宗)·화엄종(華嚴宗)·법상종(法相宗)이다.
열반종은 무열왕 때 보덕(普德)이 경복사(景福寺)를 중심으로, 계율종은 선덕여왕 때 자장(慈藏)이 통도사를 중심으로, 법성종은 문무왕 때 원효(元曉)가 분황사(芬皇寺)를 근본사찰로, 화엄종은 문무왕 때 의상(義湘)이 부석사(浮石寺)를 중심으로, 그리고 법상종은 경덕왕 때 진표(眞表)가 금산사(金山寺)를 근본도량(根本道場)으로 하여 성립한 것이다.
구산선문의 개창 조사 및 중심 사원은 다음과 같다. ① 실상산문(實相山門)은 홍척(洪陟)이 남원의 실상사에서, ② 가지산문(迦智山門)은 도의(道義)가 장흥 보림사(寶林寺)에서, ③ 사굴산문(闍崛山門)은 범일(梵日)이 강릉 굴산사(崛山寺)에서, ④ 동리산문(桐裏山門)은 혜철(惠哲)이 곡성 태안사(泰安寺)에서, ⑤ 성주산문(聖住山門)은 무염(無染)이 보령 성주사(聖住寺)에서, ⑥ 사자산문(師子山門)은 철감(哲鑑)이 영월 흥녕사(興寧寺)에서, ⑦ 희양산문(曦陽山門)은 도헌(道憲)이 문경 봉암사(鳳巖寺)에서, ⑧ 봉림산문(鳳林山門)은 현욱(玄昱)이 창원 봉림사(鳳林寺)에서, ⑨ 수미산문(須彌山門)은 이엄(利嚴)이 해주 광조사(廣照寺)에서 각각 개창하였다.
구산문의 대부분은 신라 하대에 성립되었는데, 개산조사(開山祖師)의 제자들이 그 선풍(禪風)을 계승, 발전시키면서 각 문파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오교구산설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도 있다.
승정(僧政)이 일원화되어 있었던 신라시대에는 학파적 경향은 있었지만 승정을 분리, 운영한 종파로 발전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학파불교에서 종파불교로의 전환은 9세기 중반부터 이루어져 10세기 중반까지는 종파별 승정의 기반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오교란 교학을 바탕으로 성립된 교종 종파 전체를 총칭하였고, 구산문과 그 조사의 설정은 고려 후기에 확립된 것이기에 고려 전기의 선종을 포괄하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선종이나 조계종(曹溪宗)이라는 용어가 고려 초부터 쓰였는데, 조계종은 남종선(南宗禪)을 계승한 고려의 선종을 의미하였다고 한다. 고려 전기에는 오교구산이 아니라 실제적으로는 조계종·화엄종·유가종(瑜伽宗)의 3대 종파가 있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오교구산 [五敎九山]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교구산은 통일신라 말기에서 고려 전기까지 형성된 불교 종파의 총칭입니다.
5교는 교학을 바탕으로 한 교종의 5종파로 삼국에서 통일신라시대에 걸쳐 불교가 한창 성행 할 때 교학을 위주로 공부하는 종파가 열반종, 계율종, 법성종, 화엄종, 법상종 5개 종파로 나뉘었습니다.
9교는 선종에 속하는 9개의 사찰로 통일신라시대 승려들이 중국에 가서 달마선법을 받아와 실상산문, 가지산문, 동리산문, 사자산문, 사굴산문, 희양산문, 봉림산문, 성주산문, 수미산문의 9개 산문을 중심으로 종풍을 일으켰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통일 후에 불교는 더욱 발전하여 여러 종파가 생기고, 많은 절이 세워졌을 뿐 아니라, 유명한 승려가 많이 배출되었습니다.
통일될 무렵에는 경전 연구를 중심으로 하는 교종의 5교가 성립되었으나, 말기에는 참선을 중요시하는 선종이 성행하여 9산의 종파가 성립되었습니다. 그리하여, 5교 9산의 종파가 발전하였습니다.
5교는 교학(敎學)을 바탕으로 한 교종의 5종파입니다. 삼국에서 통일신라시대에 걸쳐 불교가 한창 성할 때 교학을 위주로 공부하는 종파가 열반종(涅槃宗), 계율종(戒律宗), 법성종(法性宗), 화엄종(華嚴宗), 법상종(法相宗)의 5개 종파로 나누어졌습니다.
9산은 선종에 속하는 9개의 사찰입니다. 통일신라시대 승려들이 중국에 가서 달마선법을 받아와서 실상산문(實相山門), 가지산문(迦智山門), 동리산문(桐裡山門), 사자산문(獅子山門), 사굴산문(闍崛山門), 희양산문(曦陽山門), 봉림산문(鳳林山門), 성주산문(聖住山門), 수미산문(須彌山門)의 9개 산문(山門)을 중심으로 종풍(宗風)을 일으켰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교구산> 통일신라 말기에서 고려 전기 까지 형성된 불교 종파의 총칭을 뜻합니다.
5교는 교학을 바탕으로 한 교종의 5종파 입니다. 삼국에서 통일신라 시대에 걸쳐 불교가 한참 성할 때 교학을 위주로 공부하는 종파가 열반종, 계율종, 법성종, 화엄종, 법상종의 5개 종파로 나누어 졌습니다.
9산은 선종에 속하는 9개의 사찰 입니다. 통일신라 시대 승려들이 중국에 가서 달마선법을 받아와서 실상산문, 가지산문, 동라산문, 사자산문, 사굴산문, 희양산문, 봉림산문, 성주산문, 수미산문의 9개의 산문을 중심으로 중풍을 일으켰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교 구산(五敎九山)은 신라 중기에 성립된 교종의 5교와 신라 말기와 고려 초에 성립된 선종의 9산을 통칭하여 부르는 낱말이다.
교종의 5교는 계율종 · 법상종 · 법성종 · 열반종 · 원융종이다. 선종의 9산은 가지산문 · 동리산문 · 봉림산문 · 사굴산문 · 사자산문 · 성주산문 · 수미산문 · 실상산문 · 희양산문이다.
고려 중기 의천(1055~1101)에 의해 천태종이 성립될 때 선종 9산은 통합되어 조계종이 되었고 이에 따라 5교 9산은 5교 양종으로 변화되었다. 당시에 교종의 5교는 다음과 같이 이름이 바뀌었다. 계율종 → 남산종, 법상종 → 자은종, 법성종 → 중도종, 열반종 → 시흥종, 원융종 → 화엄종이다.
-출처:위키백과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오교 구산(五敎九山)은 신라 중기에 성립된 교종의 5교와 신라 말기와 고려 초에 성립된 선종의 9산을 통칭하여 부르는 낱말이다.[1][2]
교종의 5교는 계율종 · 법상종 · 법성종 · 열반종 · 원융종이다.[1][3] 선종의 9산은 가지산문 · 동리산문 · 봉림산문 · 사굴산문 · 사자산문 · 성주산문 · 수미산문 · 실상산문 · 희양산문이다.[1][2]
고려 중기 의천(1055~1101)에 의해 천태종이 성립될 때 선종 9산은 통합되어 조계종이 되었고 이에 따라 5교 9산은 5교 양종으로 변화되었다.[1] 당시에 교종의 5교는 다음과 같이 이름이 바뀌었다:[3][4] 계율종 → 남산종, 법상종 → 자은종, 법성종 → 중도종, 열반종 → 시흥종, 원융종 → 화엄종.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교(五敎)란 신라 때, 불교의 다섯 종파.
열반종(涅槃宗), 계율종(戒律宗), 법성종(法性宗), 화엄종(華嚴宗), 법상종(法相宗)을 말하며,
구산(九山)이란 통일신라 말·고려 초에, 달마(達磨)의 선법(禪法)을 이어
그 문풍을 유지하여 온 아홉 산문(山門)을 말합니다.
1)도의의 가지산파인 장흥 보림사
2)홍척의 실상산파인 남원 실상사
3)혜철의 동리산파인 곡성 태안사
4)현욱의 봉림산파인 창원 봉림사
5)도윤의 사자산파인 영월 흥녕사(현 법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