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 무기 수출 전망 어떻게 보시나요?
작년에 우리 나라 무기 수출액이 약 20조 가까이 된다고 합니다. 한국산 무기가 가성비가 좋고, 빨리 입고가 되기 때문에 인기가 많기도 하고,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한 몫 했는데, 앞으로는 어떨까요?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네 말씀하신 바와 같이 우리나라 방산수출 실적이 24조 원을 돌파하면서 역대 최고 실적이라는 새로운 기록을 세웠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5년간 세계 무기 수출 시장에서 점유율 9위에 머물렀으나, 올해 최고 실적과 함께 점유율 8위를 기록했습니다.
그동안 방산수출액은 2020년까지 연평균 30억 달러, 약 4조 원 규모를 유지해 오다 지난해 72억5천 달러로 증가한 데 이어 올해 잇따라 대규모 무기 수출 계약이 성사되면서 지난해 실적을 세 배 가까운 성과를 이끌었습니다.
러-우 전쟁으로 인해 전세계 각국이 군비 경쟁에 돌입함에 따라 가성비가 좋은 우리나라 무기가 인기를 끌어 방산 수출이 급증한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적으로 안보 불안은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유럽 국가의 경우 자체 수급 능력이 부족해 전 세계적으로 무기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방산 수출 산업의 전망은 계속적으로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무기매출이 늘어나고 있는 것은 국제질서의 변화때문입니다. 실질적으로 전쟁이 발생한 지가 상당히 오래되었고 일부 전쟁(이라크전쟁 등)은 대부분 국가들이 자국이랑 관계가 없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군비는 국가예산에서 상당히 비율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러한 와중에 러, 우전쟁으로 인하여 방산과 관련하여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따라서 수많은 국가들이 군비를 늘리면서 자국을 지키기 위하여 무기를 구입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한국은 양산에 대하여 기술력이 뛰어나며 기술이전과 관련하여도 호의적이기에 계속 수주량은 늘어날 것이며 꾸준히 성장할 수 있는 산업이 될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국내 방산 무기의 경쟁력은 '가성비'에 있습다. 국내 방산 기술 경쟁력은 미국 대비 80~90% 수준인데, 가격은 크게 저렴한 편에 속합니다.
이로 인해서 국내 주요 방산기업들도 수출 증대를 위한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으며 한화그룹이 대표적입니다.
방산 수출은 무기 라인업을 다양하게 하면 시너지가 나오게 되며 이번 폴란드 수주도 여러 무기를 한꺼번에 협의했는데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합병으로 라인업을 넓혀 수출 시너지를 내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최근 국내 기업의 방산 수출 확대는 단발성에 그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동안 국내 업체는 가성비를 앞세워도 글로벌 시장에서 인지도가 낮아 경쟁에 밀리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 수출 이후 트랙 레코드가 쌓이며 과거 대비 경쟁력이 올라간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안녕하세요. 홍유영 관세사입니다.
2022년 방위 산업무기수출액은 19조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다고합니다 . 방산 수출액은 한화 디펜스 , 한국 항공우주 KAI , 현대 로템 이 K9자주포 , FA-50 전투기 , K2 전차 공금계약을 폴란드 정부와 맺는 등 개가를 올렸는데 이 계약건을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의 방산 수출 점유율은 세계 8위 를 차지 하고 있습니다.
이런 우리나라 방산 산업의 비약적인 증가는 러우 전쟁과도 무관하지 않습니다. 러우 전쟁의 발발 이후 전세계적으로 방산 수요가 급격히 늘었고 미국 주요 방산업체의 생산 무기와 비교하여 가격과 유지비가 모두 낮은 것 또한 우리나라 방산 수출의 주요 사유가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우리나라의 방산 무기의 인지도가 높아 지면서 트랙레코드가 쌓이고 국내 방산 기업의 대외 신용도가 우량하여 무기 수출의 전망도 밝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방산수출이 기존의 반도체 석유화학제품 자동차 등에 밀려 대중적인 관심을 이끌어내지는 못했지만 이미 이전부터 충분히 경쟁력있는 분야였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이는 분단의 역사와 함께한 것이 명백하지만 무역수지가 적자인 상황에서 우리가 보다 더 우위를 가질 수 있는 무기산업에 정부가 더 힘을 쏟을 것이며 더 경쟁력을 갖춰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