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유전자가 거의 동일할텐데, 지문은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사람의 지문은 같을 수가 없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근데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유전자가 거의 동일할텐데,

지문은 어떤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지문의 경우 유전자의 영향도 받지만 태아가 발달하는 과정에서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쌍둥이라도 지문에서 차이가 생깁니다.

    그래서 쌍둥이라도 지문으로 구별이 가능합니다.

    임신 13주부터 지문이 생성되기 시작하는데 기본적인 패턴은 3개의 유전자가 관여하지만 각 유전자가 발현되면서 무늬가 만들어질 때 주변의 양수흐름이나 태아가 누워있는 자세 등의 환경이 영향을 미쳐 지문의 모양이 결과적으로 달라집니다.

  • 쌍둥이도 지문은 서로 다릅니다.

    지문은 개인의 유전적인 특성과 환경적인 영향에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쌍둥이도 서로 다른 지문을 가지게 되며 물론, 쌍둥이의 지문이 매우 유사할 수는 있지만, 그들의 지문은 완전히 동일하지 않습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면 지문은 손가락에 위치한 땀샘이 위로 솟아 올라 선 모양을 이루며 연결됨으로써 생깁니다.

    이 때 손가락의 특정 부위의 땀샘이 주변에 위치한 땀샘 중 어느 것과 연결될지는 알 수 없는데, 수많은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고, 땀구멍의 분포 위치 역시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 때의 요인이란 태아때의 환경과 관련된 것들으로 지문은 태아 4주쯤부터 형성이 시작되어 24주쯤 거의 완성이 되어 평생 변하지 않습니다.

    즉, 지문은 자궁 내 압력, 태아의 위치, 양수의 농도 및 성분, 유전 형질 등에 영향을 받아 달라지기 때문에 모든 사람, 심지어 말씀하신 쌍둥이라 할지라도 다를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란성 쌍둥이는 하나의 정자와 하나의 알이 합쳐져서 생겨난 유전적으로 동일한 쌍둥이입니다. 따라서 일란성 쌍둥이는 유전자가 거의 동일하게 분배되기 때문에 지문 역시 매우 유사합니다.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나 무작위적인 변이 등으로 인해 일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란성 쌍둥이가 태어날 때의 조건이나 성장 환경에 따라서도 지문의 모양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란성 쌍둥이의 지문은 유전적으로는 거의 동일하지만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일란성 쌍둥이는 하나의 수정란이 분열되어 생긴 두 명의 개체로, 유전적으로 동일한 DNA를 공유합니다. 그러나 지문은 일란성 쌍둥이라도 서로 다릅니다. 그 이유는 지문 형성에 유전적 요소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소가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지문은 태아 발달 과정 중에 형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자궁 내 위치, 양수의 흐름, 태아의 움직임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이 지문의 모양을 결정짓습니다. 이러한 미세한 차이들이 지문에 반영되어 일란성 쌍둥이라도 서로 다른 지문을 가지게 됩니다.

    지문은 임신 약 6주 차에 처음 형성되기 시작하며, 17주에서 24주 사이에 거의 완성됩니다. 이 시기 동안의 다양한 미세 환경 변화는 지문의 고유한 패턴을 만들어냅니다. 예를 들어, 태아의 손가락이 양수에 닿는 방식이나 빈도, 자궁 벽에 접촉하는 위치와 압력 등이 지문에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동일한 유전자를 가지더라도 이러한 환경적 차이에 의해 지문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동물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관찰됩니다. 예를 들어, 개와 고양이의 코 지문은 사람의 지문처럼 개체마다 고유합니다. 이 또한 유전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됩니다. 특히, 고양이의 코 지문은 매우 정교하고 독특하여 각 개체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동물들도 유사하게 태아 발달 과정에서 환경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쳐 코 지문 등의 패턴이 형성되므로, 유전적으로 동일한 동물이라도 이러한 패턴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일란성 쌍둥이의 지문이 다른 이유는 지문 형성 과정에서 유전적 요소 외에도 다양한 환경적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며, 개체 식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이 생물체의 다양한 특징 형성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유전자는 거의 동일하지만, 지문은 서로 다릅니다. 지문은 태아가 태반을 통해 자신의 손가락에 접촉한 환경에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일란성 쌍둥이라도 지문은 각자의 환경에 따라 다르게 형성됩니다. 따라서 일란성 쌍둥이라도 지문은 서로 구별할 수 있는 고유한 특징을 가지게 됩니다.

  •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유전자가 거의 동일하지만, 지문은 서로 다르게 나타납니다. 지문은 태아기 때 손과 발의 피부가 발달하면서 형성되는데, 이 과정에는 유전 정보 외에도 자궁 내 환경, 자궁 내 위치, 피부 발달 과정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유전자가 거의 동일한 일란성 쌍둥이라도 각자의 발달 과정에 약간의 차이가 생겨 서로 구분되는 지문 패턴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처럼 지문은 유전적 요인 외에 다른 요인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일란성 쌍둥이라 할지라도 각자 고유의 지문을 갖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유전자는 거의 동일하게 공유하지만, 지문은 서로 다릅니다. 지문이 형성되는 과정은 유전적 요인과 더불어 태아가 자라는 자궁 내 환경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심지어 일란성 쌍둥이라 할지라도 각자의 지문은 독특하게 발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일란성쌍둥이란 하나의 수정란이 2개의 배아로 나뉜 경우를 말하며, 염색체상으로는 같기 때문에 생김새, 성별뿐 아니라 유전적인 질환이나 체질도 비슷합니다. 하지만 손가락 끝에 나 있는 지문의 모양은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며, 동일한 유전물질을 공유하고 있는 일란성 쌍둥이라도 지문은 일치하지 않습니다. 이는 물려받은 유전자는 같지만 지문이 형성되는 자궁 속에서 각각 돌연변이가 진행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