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미국이 금리를 올리는 것을 확정하였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한번 더 올려 이슈가 되었습니다만 여기서 궁금한 것이 미국과 한국의 금리차이가 더 벌어졌다고도 뉴스에서 강조하더라구요. 미국과 한국의 금리차이가 발생하면 벌어지는 장단점? 들이 무엇이 있길래 뉴스에서도 저렇게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단점으로는 우선 외화유출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 차에 따른 경제적 불안이 발생한다는 것이죠.
장점으로는 낮은 금리를 유지하면서 경제가 버틸만하다면 큰 고통없이 지나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의 역대 최고 금리차를 보이고 있고
이에 따라서 원달러 환율 급등 및 외인자본유출이
우려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미 금리차가 벌어지게 되면 국내에서도 금리 인상에 대한 압박이 생깁니다. 외국인의 투자자금이 해외로 유출될 수 있고, 원화가치가 절하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미금리 기준금리 역전폭이 2프로가넘어서 해외자본 유출우려를 많이하죠
근데 실제 거래금리가 미국채10년물 기준 3.80 수준 우리나라 3.70 수준 거래중이라 우려하는 일은 안일어날거 같네용~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차로 인해서 크게 장단점은 아래와 같겠습니다.
1. 원달러환율 급등
금리가 오르게되면 원달러환율이 오르게되는 현상이 생기게됩니다. 수출기업에겐 호재이지만, 달러를 사기 위해 많은 돈을 써야하기때문에 달러 환전에는 좋지 않은 영향이 생기게 됩니다.
2. 외국인투자자의 국내시장 이탈 증가
금리가 높은 쪽으로 자금이 이동하기 때문에 주식 시장에서의 외국인투자자들이 빠져나갈 확률이 커지게 됩니다.
도움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의 금리차이는 기본적으로 돈을 한국에 두는 것보다 이자가 미국에 두는 게 유리하다는것을 말합니다.
한국내 글로벌 투자자들이 갖고 운영해온 자금이 이탈될 것이 우려되어 걱정하는 것입니다.
물론 투자라는 것이 꼭 금리에만 달려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2%의 사상초유의 격차가 벌어진만큼 그 여파는 검토해야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미 금리차에 따른 실익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한국은행의 고민이 깊어지고 원화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 물가 상승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출 기업의 가격 경쟁력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타통화도 모두 평가절하 상태여서 이 또한 실익이 크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의 금리격차가 벌어지면 자금이 한국시장에서 미국으로 이동을 하게 됩니다. 수익률이 더 좋은 미국시장으로 자금이 빠져나가는 것 입니다.
이렇게 되면 원화약세가 크게 나타나게 되면서 외화부채의 원리금 증가, 수입물가의 상승 등 경기에 안좋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