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생물을 관측한 현미경이 훅(Hook, R.)과 리퍼르시가 만든 현미경과 어떠한 차이가 있어 전자는 미생물을 후자는 살아 움직이는 세포를 관측하였나요?
훅(Hook, R.)은 자신이 만든 현미경으로 생명체의 미세구조를 관찰했다고하고 레이우엔훅은 자신이 만든 단안 렌즈 현미경으로 최초로 살아움직이는 세포를 관찰하였다고 책에 나와있는데요
그들이 만든 현미경이 어떠한 차이가 있어 로보트훅은 살아움직이는 세포를 관측하지 못하고 레이우엔훅이 최초로 관측하게 되었나요?
아님 다른 연유로 관측하지 못한 이유가 있을까요?
훅과 레이우엔훅이 만든 현미경의 가장 큰 차이는 배율과 해상력입니다. 훅은 복합현미경을 사용해 코르크 조각을 관찰하면서 죽은 식물 세포의 벽을 보았고, 그것을 셀이라 명명했지만 배율이 낮아 세포 내부나 운동은 관찰하지 못했습니다. 반면 레이우엔훅은 정밀하게 연마한 단일 렌즈를 사용해 최대 200배 이상의 고배율과 높은 해상도를 갖는 현미경을 만들어 살아 있는 미생물과 운동하는 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관찰 대상의 선택과 기술의 정밀도가 결과의 차이를 만든 핵심 이유입니다.
현미경의 차이도 있었지만, 관찰 대상의 차이도 있습니다.
먼저 훅은 복합 현미경을 사용했습니다. 복합 현미경은 여러 개의 렌즈를 조합하여 배율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당시 기술로는 렌즈의 품질이 좋지 않아 상의 왜곡이 심했습니다.
그리고 훅은 주로 코르크 조각과 같은 죽은 식물 조직을 관찰했는데, 그는 코르크 조각에서 작은 방과 같은 구조를 발견하고 이를 '세포'라고 명명했습니다.
무엇보다 훅의 현미경은 살아있는 세포를 관찰하기에는 해상도가 부족했고, 그가 관찰한 대상은 이미 죽은 조직이었기 때문에 살아 움직이는 세포를 관찰할 수 없었습니다.
반면 레이우엔훅은 스스로 갈아 만든 단일 렌즈 현미경을 사용했습니다. 특히 그의 현미경은 복합 현미경보다 렌즈의 품질이 뛰어나고 상의 왜곡이 적어 더 높은 해상도를 가졌습니다.
특히 레이우엔훅은 빗물이나 침, 치아 플라크 등 다양한 샘플을 관찰했으며, 이러한 샘플에서 살아 움직이는 작은 생명체들을 발견하고 이를 '동물원'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리고 레이우엔훅의 뛰어난 현미경 기술과 다양한 샘플 관찰을 통해 그는 최초로 살아있는 세포, 즉 박테리아와 원생동물 등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