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23.06.02

1929년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어떻게 일어날 수 있었나요?

1929년 일어난 광주 학생 항일운동은

1919년 있었던 3.1운동 이후 최대 규모의 민족 운동이라고 하는데 3.1운동으로 인해 항일운동의 감시가

더 심해졌음에도 일어날 수 있었던 사회 배경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 가지는

역사적 의의도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02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5 · 18광주민주화 운동은 ‘광주민중항쟁’, ‘광주시민항쟁’, ‘광주항쟁’, ‘광주의거’ 등으로 불리우나, 과거에는 신군부와 관변 언론 등에 의해 ‘광주소요사태’, ‘광주사태’, ‘폭동’ 등으로 보도되기도 하였다.

    계엄령 철폐와 전두환(全斗煥) 보안사령관을 비롯한 신군부 인사들의 퇴진, 김대중(金大中) 석방 등을 요구하였다.

    1980년 발발 당시에는 극소수 불순분자와 폭도들의 난동(광주사태)으로 규정되었다가 제6공화국 출범 이후인 1988년 4월 1일 민주화추진위원회에서 ‘광주민주화운동’으로 정식 규정되었고, 같은 해 11월 제13대 총선(4월 26일)의 소산인 여소야대 국회에서 사건규명을 위한 국회 광주특위청문회가 개최되었다.

    대통령 박정희(朴正熙)의 장기간 군사독재가 통치능력을 상실한 일련의 사태는 1979년 10월 이후 연속적으로 발생하였다. 10월 4일 신민당 총재 김영삼(金泳三)은 국회에서 의원직을 제명당하자 10월 15부터 10월 20까지 부산 · 마산 등지에서는 부마항쟁(釜馬抗爭)이 일어났고, 이의 해결을 둘러싼 노선대립으로 10월 26일 김재규(金載圭)가 박정희를 살해하였다.

    10 · 26사태의 사후 수습과정에서 보안사령관 전두환 소장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이 부상하였으며, 12 · 12사건의 하극상을 통하여 군부를 장악하였다.

    1980년 2월 29일 김대중 등이 복권되었으나 그 해 봄, 신군부는 최규하(崔圭夏) 과도정부를 유명무실하게 하고 국민들이 요구하는 민주주의와 이를 위한 명확한 정치일정 제시를 거부하면서 권력기반을 구축하고 있었다.

    군부의 재집권 야욕에 대한 국민적 저항은 학생운동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표출되다가 강원도 사북사태(舍北事態, 4월 19∼4월 24일)로 대표되는 생존권 문제로까지 확산되었다. 5월 1일 대학의 학원문제가 교외로 확산되면서 5월 13일부터 5월 14일에 걸쳐 서울 · 부산 · 대구 · 광주 등 37개 대학에서 계엄철폐를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5월 15일에는 서울역에서 시위가 발생하는 등 학생시위는 서울시가지를 거의 마비시키는 등 야간까지 지속되어 사태가 절정에 달하면서 신군부 세력을 위협하였다. 5월 16일 24개 대학 학생대표들은 당분간 시국의 추이를 관망하기로 결정하고 가두시위를 중단하면서 소강상태에 돌입하는 듯하였다.

    5월 17일 신군부 세력이 배후에서 조종하던 비상국무회의가 이전까지는 제주도를 제외한 지역에 한정되었던 비상계엄을 전국에 확대하는 조치인 계엄포고 10호(17일 24시에 발효: 각 대학 휴교령 포함)를 밤 9시 40분에 의결하고 밤 11시 40분에 발표하면서 밤 11시를 전후한 시점부터 김대중 · 김종필(金鍾泌)이 연행되는 등 권력형 부정축재자 및 소요조종 혐의자, 학생 시위 주동자가 체포되었다. 광주민주화운동은 이러한 배경 아래 5월 18일부터 시작되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18 광주민주화운동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3.1운동 이후 각종 민족운동과 항일 투쟁은 청년, 학생들에게 민족자주의식을 불러일으켰고 1926년 6.10만세운동은 청년, 학생들에게 자신들 스스로가 민족독립 투쟁의 전위적 존재임을 자각하게 했습니다.

    이후 각급 학교에는 크고 작은 항일 결사들이 조직되었고 식민지 차별 교육에 항거하는 동맹휴학형식으로 치열한 항일투쟁을 전개합니다.

    그러던 중 1929년 11월 일본 학생의 한국인 여학생 희롱사건으로 한국 학생과 일본 학생 사이에 충돌이 일어나고 일본 경찰의 편파적 대처 등을 계기로 민족감정이 폭발하여 광주에서 시작된 항일시위는 점차 전국적으로 확산되게 됩니다.

    광주학생항일운동에서 학생은 학교를 단위로 조직된 대중운동의 힘으로 시위운동을 벌였으며 이는 사회 각계각층의 대중운동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28년 6월부터 동맹 휴교 형태로 가열된 광주 학생의 대일 항쟁은 날이 갈수록 단계적인 심화와 발전을 거듭하였다. 1928년대의 광주고등보통학교를 비롯한 동맹 휴교가 다음해의 민족 독립 항쟁의 길로 연결되지 않았더라면 1929년에서 1930년대의 전국적인 항일 학생 민족운동은 양상과 시기를 달리했을지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광주의 항일 학생운동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역사적 의의를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첫째, 광주 학생들은 당시 사회운동·청년운동을 포함한 민족 독립운동에 대해서 민감한 수용력을 보여주었고 그것을 체득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다. 우리 민족사가 일제의 강점으로 식민지화되어 있을 때 민족 독립을 위한 역사적 과제를 모색하는 생동력 있는 지성을 추구해 나갔다.


    둘째, 광주 지역에는 이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성진회가 창립되어 민족 독립의 성취를 위한 이론을 다양하게 연구하여 대일항쟁요원을 육성, 조직한 점이다. 셋째, 일제 강점 하의 한국 사회에서 누구든지 민족적 방향, 그리고 인간적 차원에 선 대일 감정이 있었다. 아무리 소박한 측면에서라도 일제는 침탈자요 수탈자이며, 폭력을 동원하는 압박자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러한 반일선상의 상식을 조직성과 집단력이 강한 학생층이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구체적으로 비판하고자 하였는데, 민족 차별과 식민지 교육 체제, 여기에 대한 '민족 독립의 필요성'은 부각되는 것이다.


    광주 학생이 위와 같이 부각된 문제점들을 집약하여 가장 어렵고 불리한 상황 속에서 궐기할 수 있었다는 것은 이상과 같이 민족의 저변에 깔린 당위를 확신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광주 학생의 항쟁은 일본 제국주의의 타도를 통한 민족의 독립과 이 길을 위해 식민지 교육 체제를 반대하고, 민족 교육을 주창하며 궐기한 민족 독립 항쟁인 것이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광주 시내에서 일어난 일본 학생의 한국 여학생 희롱에 반발한 한국 학생과 이를 제지하려던 일본 학생 간 충돌으로부터 발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