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열공 원인 퍼센트로 알려주세요+이미 제 질문에 답변하신분은 답변 안해주셔도 됩니다
2023.8.11일에 정수리쪽을 세게 맞음.8월 22일에 누가 던진공에 뒤통수를 맞고 앞으로 넘어짐 하지만 내가 손으로 짚어서 다른 충격 받는건 면함 이후 증상 없이 지내다가 2023.9.25일쯤부터 오른쪽에 실하나가 생김
2023.10.3일쯤부터 없던 왼쪽눈에 실하나와 구름모양(거미줄모양)비문증 생김 이 상태로 쭉 보임 물론 항상보이는건아니고 왼쩍눈은 가끔씩 오른쩍은 자주 발생 그이후로 쭉 점이 1개정도 양쩍눈에 추가됨 후 2023.10.17일에 동네 안과병원에 내원해서 산동검사만 해 의사가 “너무 깨끗한데요?먼지를 봤나ㅎㅎ”라고 말함 후 2023.12월 초에 오른쪽 끝에 엄청난 비문증 발생 이 비문증은 실이 한 10개정도가 뭉텅이로 엄청나게 돌아다님 너무 무섭게 지내다가 2024.4.4일에 다시 안과 내원후 망막열공 진단
2024.4.5일에 대학병원 방문후 교수님이“오른쪽 끝에 이단분리증(망막이단)+작은 망막열공과 유 견인이 있네요. 주변부엔 찢어진 상처들이 많네요“라고 말했고 왼쪽의 망막열공은 거의 크기가 작은편이고 오른쪽눈은 유리체견인에다가 망막분리증에다가 망막열공도 크기가 왼쪽보다는 상대적으로 큰게 있구요 총 왼쪽에 3개(6시,9시,하나는 위치 기억안남)오른쪽에는 4개정도인데(3~9시방향 3개 위쪽 1개)있슴
난 근시,노화(아직 성장중+어린학생)도 없지만 눈을 평소에 비염+알레르기 때문에 습관적으로 비비고 비염심할때는 누르면서 세게 오랫동안 비벼왔긴한데 과연 저 외상의 원인이 뭘까요
외상이라고 생각하는이유
1.비문증 발생시점
2.외상후에 아무문제 없다고 한 병원에서 다른검사 없이 오직 산동검사만 함->아주 작은열공등 미세한거 잘 못봤을고 같음
3.논문에서 외상이후 비문증 발생까지 한달 넘은사람이 55.3%->왜냐면 간접적 원인
외상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유
A.부위가 정수리여서
B.매우 많응 의사들한테 물어본 결과 거의 대부분 관계 없다고 추측(눈 직접본건 아니고 글로만 추측해준 의사분들)
C.동네병원에서 외상 2달후에 문제없다고 했기 때문
D.머리 외상으로 발생한 망막열공 환자는 몇시간 찾아도 3~4명나옴 근데 눈비벼서 생긴 환자는 몇시간 찾아서 10명 이상나옴
진짜 뭘까요?원인이……
그냥 추측✅부탁드립니다 단순히 “추측”이요+어림잡아 수치로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질문자분의 상황을 고려해보면,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 먼저, 비문증과 망막열공의 발생 시점과 관련된 외상에 대해 이야기해볼 수 있겠는데요. 일반적으로 망막열공은 눈의 물리적 외상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비문증의 발생이 외상과 반드시 관계가 있다고 확신하기는 어렵습니다. 망막열공의 발생 원인은 다양한 요소가 결합된 결과일 수 있습니다.
외상 후 비문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는 논문 통계처럼, 외상 후 한 달 이상 지나 비문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약 55.3%로 보고되기도 한다고 하지만, 외상에 의한 비문증 발생이 전부 다 망막열공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질문자분이 언급한 눈을 비빈 습관도 간과할 수 없는 요인 중 하나로 볼 수 있습니다. 눈을 지속적으로 비비는 행동은 물리적 자극을 통해 눈 내부 구조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외상의 부위가 정수리였다는 점과 비슷한 사례를 찾기가 어려웠다는 부분을 고려한다면,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네 병원에서 검사 당시 작은 열공을 발견하지 못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단순한 추측으로 수치를 어림잡아 보자면, 외상이 망막열공에 기여했을 가능성은 대략 30% 정도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반면, 지속적인 눈 비비기 등의 기계적 자극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비슷한 정도로 상정할 수 있습니다.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변수가 많지만, 종합적으로 봤을 때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