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물리고 소독약 바로 바르고 마데카솔 발랐는데..

성별
여성
나이대
22

어제 강아지에게 물리고 소독약 바로 바르고 마데카솔 발랐는데.. 병원가야할까여? 아프진 않아요 병원에 가야한다면 어디병원가야나요??

어제 물린거고 하루 지난거에요

  • 1번 째 사진
  • 2번 째 사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최성훈 내과 전문의
    최성훈 내과 전문의
    고려병원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 입니다.

    올려주신 사진만으로는 상처의 정도를 알기가 어렵겠습니다.

    예방접종을 마친 기르는 반려 동물이라 하여도 물린 경우 세균 감염과 파상풍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병원 진료를 받으실 것을 권합니다.

    인근 외과 진료를 받으시고 최근 10년 이내 파상풍 접종을 받은 적이 없다면 예방접종도 받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강아지에게 물리고 즉각적인 세척, 소독을 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해당 부위 통증이 나타나거나 상처가 깊거나 열이 나거나 붓기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피부과 등에 내원하셔서 진료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외상으로인한 피하출혈이 있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대개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흡수되어 회복을 하게 됩니다. 발적 부종 압통 등이 동반된다면 병원진료를 보시기 바랍니다.

  • 물린 부위에 혈액이 고이면서 굳게 되면서 생긴 소견으로 보입니다. 시간이 경과하면 스스로 좋아질 가능성도 충분히 있어 보이긴 하지만 혹시 모르기 때문에 아무래도 병원에 다니면서 상처 감염을 예방하고 관리를 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강아지의 치아에는 세균이 많이 있습니다. 강아지에게 물렸을 경우에는 파상풍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즉시 내과에서 예방주사 등을 맞아줘야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확인을 위해서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 강아지를 찍으신 사진을 보니 집에서 기르는 애완견에 물리신 상황으로 예상되는데 맞나요?

    상처자체는 깊지 않아서 그냥 두셔도 자연적으로 회복되겠습니다. 소독, 항생제 연고 (마데카솔), 드레싱용품 (데일밴드)으로 덮어놓기만 잘 하시면 되겠습니다.

    조금 더 생각할것이 광견병과 파상풍인데 우리나라는 광견병이 발병하지 않은지 10년이 넘은걸로 알고 있으며 아마 애완견이시면 다 접종을 하셨을거라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강아지에게 발을 물린 뒤 상처가 발생하여 걱정스러우시지요. 반려견에 물린 상황인 경우와 주인 없는 강아지에게 물린 상황을 나누어서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반려견의 경우 대개는 예방접종을 잘 시행하기 때문에 감염증에 대한 우려는 거의 없는 편이며, 질문자님께서 파상풍 예방접종을 맞으셨는지 정도만 확인해보시면 되겠습니다. 파상풍 예방접종은 10년간 유효하므로 접종일로부터 10년 이내의 상황이라면 추가 접종이 필요하지는 않은 수준의 상처입니다. 반면 주인 없는 야생의 강아지에게 물린 경우 광견병에 대한 우려가 존재합니다. 물론 가능성은 희박하고, 상처가 깊지 않아서 감염될 위험이 더 낮아집니다만, 이런 상황이라면 가까운 내과에서 진료를 한 번 받아보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백신 접종 여부와 건강 상태가 확실한 집강아지가 아니라면 물린 본인이 백신들 (파상풍, 광견병 등)을 맞아야 합니다. 응급실 방문을 권합니다. 감사합니다.

  • 대면 상담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집에서 기르는 (광견병 예방 접종되고, 야외에서 노출이 많이 않은) 개라면

    내과나 가정의학과 방문하여, 항생제 정도 복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교상이라고 물린 상처는 간혹 덧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ㅠㅠ

  • 강아지에게 물린 상처는 감염 위험이 있으니 병원 진료를 받는 게 안전합니다. 만약 강아지의 광견병 예방접종 여부를 알 수 없다면 더욱 주의가 필요해요. 소독만으로는 세균 감염을 막기 어려우므로 항생제 처방을 받아야 할 수 있습니다.

    외상이나 동물교상은 응급실, 외과, 성형외과 등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어요. 응급실 방문이 어렵다면 근처 병원 외과를 우선 방문하시고, 필요시 피부과 협진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외출 시에는 상처 부위를 깨끗한 거즈나 밴드로 덮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