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금리는 어떠한 지표들을 기초로 측정이 되는 건가요?
한국의 금리는 어떠한 지표들을 기초로 측정이 되는 건가요?
어떠한 지표들을 근거로 금리가 매겨지는거며 경제에는 어떠한 영향을 끼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는 한마디로 경제의 체온 같은 지표입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정할 때는 물가상승률과 경기 성장률, 환율, 그리고 미국 기준금리 같은 대외 요인을 함께 봅니다. 물가가 오르면 금리를 올려서 소비를 줄이고, 반대로 경기가 식으면 금리를 내려서 돈이 더 돌게 만듭니다. 현실적으로 보면 금리가 오르면 대출 이자는 늘지만 예금 이자도 같이 오르죠. 기업 입장에서는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고, 소비자들은 지갑을 덜 열게 됩니다. 그래서 금리는 결국 나라 경제의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은 물가 안정입니다. 이는 미국연준도 마찬가지입니다. 즉 중앙은행은 기본적으로 물가안정이 최우선이며 이로인해서 각종 물가지표를 다양하게 참고하고 기대인플레이션이나 원자재나 가격동향이나 여러 추이를 종합적으로 참고하여 결정합니다. 그리고 다음은 경제 성장과 관련된 지표와 고용지표와 실업률 관련지표를 유심히 살펴보고 결정합니다.
그리고 최근에 한국은행은 금융안정성 지표를 더 우선시 여기는데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가계부채의 동향과 이를 통한 주담대가 우려가 크다고 보고 서울 수도권 부동산의 가격을 유심히 보는편입니다. 마지막으로 대외경제인 환율지표에 대해서 면밀히 살펴보고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금리는 기본적으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를 중심으로 움직입니다. 기준금리는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 환율, 경기성장률, 실업률, 가계부채 수준 같은 주요 경제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물가가 급등하면 금리를 올려 소비와 대출을 억제하고, 경기 침체가 오면 금리를 낮춰 투자와 소비를 유도하는 식입니다. 이런 결정은 결국 가계의 이자 부담, 기업의 투자비용, 주식부동산환율 등 금융시장 전반에 영향을 줍니다. 즉 금리는 ‘경제의 체온계이자 ‘속도 조절 장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를 결정할 때는 물가상승률, 경제성장률, 고용 지표등과 함께 가계부채 동향,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금리, 글로벌 경제 상황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참고 후 결정하게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는 소비자물가지수, 국내총생산,고용률, 환율 등의 거시경제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는 경기 부양을, 금리 인상은 물가 상승 억제와 과열 방지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은 물가 상승률, 성장률, 고용, 환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금리를 결정합니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시중 금리, 대출, 채권금리 모두 연동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의 금리는 어떤 지표들을 기초로 측정이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국의 기준 금리 역시 다른 나라들과 비슷하게
경제 성장률, 물가 상승률, 실업률 등을 기반으로 해서
측정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