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유단설
유단설

영생하는 생물이 존재하지 않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생물이 번식을 하는 이유는 결국 자신의 유전정보를 후대에 전달하기 위함으로 배웠는데.

그렇게 생각하면 그냥 자신이 영생을 하는 것, 혹은 장수를 하는 게 유전정보의 보존이 더 효율적으로 가능할 것 같은데. 왜 영생의 생물은 존재하지 않으며, 대다수의 생물들이 수명이 길어지는 방향으로 진화를 하지 않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영생이 진화하지 않은 이유는, 유전정보의 보존은 개체의 생존이아니라 세대의 교체를통해서 더 안정적으로 달성되기떄문입니다. 노화와 죽음은 돌연변이 축적, 에너지자원의 제한이나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 확보등 진화적 아력의 산물로써 새로운세대를통해서 유전적인 다양성을 확보하는 편이 생존에 유리했을것이기 떄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진화의 원리 자체가 개체의 영속성보다는 유전자의 효율적인 후대 전달에 맞춰져 있기 때문입니다.

    즉, 유전자를 보존하는 데 있어 개체의 영생이 가장 효율적인 전략이 아니라 오히려 노화와 죽음이 종 전체의 장기적인 생존과 적응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을 드리자면, 생물이 번식을 통해 유전자를 후대에 전달하면, 그 개체의 수명 연장에 대한 자연 선택의 압력이 급격히 약해집니다. 또한 번식 후 나타나는 노화 유발 유전자나 돌연변이는 제거되지 않고 유전자 풀에 쌓이게 됩니다. 게다가 모든 생체 자원은 유한하며, 영생을 위해 신체를 유지하는데 에너지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은, 번식에 할애할 자원을 줄여 유전자 전달을 어렵게 할 수 있습니다.

    결국 영생을 위한 투자보다는 최대한 빨리 번식하는 전략이 더 유리한 것입니다.

    무엇보다 개체의 죽음은 새로운 유전적 변이를 가진 후손들에게 유한한 자원과 환경을 물려주고, 종 전체의 급변하는 환경에 대한 적응력과 진화 속도를 높이는 이점이 됩니다.

    결국 노화와 죽음은 하나의 개체에게는 불리해도, 종 전체로 보면 생존과 적응에는 진화적으로 유리한 전략이 되는 것입니다.

  • 생명체가 영생하지 않는 이유는 노화와 죽음이 유전 정보의 다양성과 진화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영생하는 개체는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새로운 유전자 변이를 만들 수 없고, 이미 존재하는 유전적 결함을 다음 세대에 전달할 기회도 없어 진화가 정체될 수 있습니다. 또한, 번식은 단순히 유전자를 전달하는 행위를 넘어, 해로운 돌연변이를 제거하고 새로운 환경에 유리한 유전자 조합을 만드는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유한한 수명을 통해 개체는 죽고, 그 자리를 유전적으로 더 적합한 후손이 차지함으로써 종 전체의 생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이는 개체의 영생보다 종의 지속적인 번영에 더 유리한 전략입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