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한결같은백로195
한결같은백로195

해충으로 알려진 모기들은 어떻게 이산화탄소를 감지할수가 있는건지 궁굼합니다

벌레중에서 해충으로 알려진 모기들은 어떤방식으로 이산화탄소를 감지를 할수가 있는건지 궁굼합니다.. 아시는분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모기는 주로 머리 부분에 위치한 맥실라리 팔프(Maxillary palps)라고 하는 구조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감지합니다. 이 구조는 눈 바로 옆에 위치하며, 여러 감각 수용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맥실라리 팔프에는 cpA 뉴런이라 불리는 특수한 신경 세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세포들은 이산화탄소 농도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모기는 이산화탄소를 감지하여 흡혈대상을 찾는것으로 유명한데요.

    모기의 윗턱수염 안에 냄새를 맡는 cpA라는 신경세포가 이산화탄소를 감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사람에게 이산화탄소는 무취 이지만 모기는 이산화탄소의 냄새를 맡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모기는 이산화탄소를 감지할 수 있는 특수한 화학 수용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수용체는 모기의 촉각과 복부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모기는 공기 중에 있는 아주 미량의 이산화탄소도 감지할 수 있는데, 이는 포유류를 비롯한 호흡 생물체가 내뿜는 이산화탄소에 반응하여 피를 구할 목표물을 찾아내기 위함입니다. 이산화탄소 외에도 모기는 체온, 젖은 피부 냄새, 암모니아 등의 화학 물질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숙주를 찾아갑니다. 이렇듯 모기의 이산화탄소 감지 능력은 기본적인 생존 전략의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모기는 50m 밖에서도 이산화탄소를 감지하는데요, 이산화탄소는 공기 중에 쉽게 흩어지므로 모기는 지그재그로 비행하며 이를 추적한다고 합니다. 이산화탄소를 많이 내뿜는 사람일수록 모기의 주 표적이 되기 쉬우며 일반적으로 신진대사가 높은 사람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처럼 모기가 이산화탄소를 감지할 수 있는 이유는 이산화탄소 감지신경세포(CO2-sensitive olfactory neuron)가 있어 사람이 숨을 쉴 때 배출된 이산화탄소감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 말씀대로 모기들은 이산화탄소를 감지하는 능력이 있어서 사람이 숨을 쉴 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통해 사람을 찾아갑니다. 모기는 머리에 있는 촉수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감지할 수 있는데, 이는 이산화탄소 감지신경세포(CO2-sensitive olfactory neuron)가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신진대사가 활발한 사람들, 즉 임산부나 어린이, 몸집이 큰 사람들은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에 모기를 더 많이 불러모으게 됩니다. 모기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곳으로 이동하며, 가까운 거리에서는 체온과 습기를 감지하여 앉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모기는 이산화탄소 감지신경세포를 가지고 있어서 사람이 숨을 쉴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감지해 사람을 공격합니다. 감사합니다.

  • 모기는 이산화탄소(CO2)를 마치냄새로 인식합니다.

    CO2분자를 냄새분자로 인식하여 후각체계가 활성화되는데, 이 CO2냄새가 짙어지는것을 감지하여 주변에 사냥감이 있음을 확인합니다.

    이와 동시에 후각체계에 자극된 신호는 곧바로 시각체계로 전달되어 주변을 관찰하게만들고 운동체계를 자극하여 사냥감에게 날아가게합니다.

    쉽게말해서 단순히 인간이 냄새를 맡을때 냄새분자를 콧속의 후각수용체에 결합시켜 인지하듯히 모기도 CO2분자를 후각수용체와 만나게하여 인지하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