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에 길이 남을 역사적 선택은 어떤게 있을까요?
한국사에 길이 남을 역사적인 선택에 관한 질문입니다. 예를 들어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선택, 10.26당시 김재규의 남산과 용산 선택중 용산의 선택 등 역사에 가정은 없지만 이와 유사한 역사적인 판단, 선택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이
아쉬운 판단이라고 생각합니다.
조선의 근대화를 상당히 늦추는 등의 결과를 초래하였기 떄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인의 운명을 바꾼 역사적 선택 108가지 결정] 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여기서 꼽는 선택들 중 아래가 대표적입니다.
1. 한글 창제 - 한국인의 의사소통
2. 위화도 회군 - 한반도 중심
3. 나당동맹 - 민족 정체성 수립
4. 5.16 - 군사 정권, 산업화
5. 동학농민운동 - 민중 운동 원형
6. 과거제 도입 - 제한된 평등성 제공
7. 한국전쟁 - 분단 확정
8. 평양 천도(고구려 장수왕) - 만주에서 한반도로
9. 박정희 암살 - 독재 종식
10. 동의보감 편찬 - 민생, 한의학
11. 남북정상회담 - 협력 관계
12. 경부고속도로 - 경제 성장, ‘빨리 빨리’ 문화
13. 무신의 난 - 귀족 사회 붕괴
14. 고구려 불교 수입 - 민족 문화, 왕권강화
15. 단독정부 수립 - 냉전, 분단
16. 김구 암살 - 통일 가능성 상실
17. 쇄국정책 - 근대화 지연, 식민지 계기
18. 후보 단일화 실패 - 지역주의
19. 부계성 강제 조항 폐지 - 인권시대
20. 카터 방북 - 남북관계 개선
21. 12.12쿠테타 - 광주항쟁, 군사정권
22. 올림픽 유치 - 세계로~
23. 서희의 강동6주 획득 - 실용주의
24. 대동법 실시 - 세제 개혁, 상공업 발전
25. 인조반정 - 호란 촉발
26. 성리학 수입 - 중심 이념 수입
27. 강화도 조약 - 제국주의 체제 편입
28. IMF - 개발 독재 경제운용 마감
29. 한반도 분할 점령 - 분단 초래
30. 고구려 중원 정벌(광개토왕) -민족 활동 무대
31. 왕건의 신라 포용 - 통일 가능
32. 진흥왕 한강유역 진출 - 삼국통일
33. 반민특위 습격 - 친일 청산 좌절, 정치 원죄 형성
34. 독립 선언(3.1운동) - 독립운동
35. 4.19교수 대모 - 이승만 정권 종식
36. 신분제 철폐 - 법적 폐지
37. 한미동맹 - 현대 틀 형성
38. 묘청의 난 -북방정책, 고유 사상 좌절
39. 10월 유신 - 독재, 중화학 공업화
40. 문익점 목화 수입 - 실생활 개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