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칠공주파리더
칠공주파리더

왜 중국과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는 고대/중세에 결투 문화가 없나요?

일본은 사무라이들이 서로 결투를 하고 중국에서는 무술가들이 서로 결투를 하는 장면을 영화 등에서 많이 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고려나 조선에서 왜 결투 문화가 없었을까요? 중국으로든 일본으로든 중간에서 문화의 영향을 받았을 텐데 왜 우리 민족에게는 그런 문화가 없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리나라에서 결투문화가 자리잡지 못한 이유는 삼국 시대 이후 대체로 중앙집권적 왕권과 공식 관료제 중심의 사회였기 때문입니다. 신분제, 관료제가 엄격했고, 분쟁이나 논쟁은 공식적으로 율령에 의해 사법, 행정적으로 처리했기 때문입니다. 즉 공권력 외에 명예, 재산 문제를 사적인 결투에 의해 해결하는 것은 위법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고려, 조선으로 갈수록 유교적 질서가 강화되어 개인적 명예나 무역 과시가 공동체의 화합과 예, 질서에 어긋난다고 여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