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저축성 보험

진실한허스키102
진실한허스키102

연금.적금 종신.보험종류를알고싶습니다?

연금종류도많고어떤연금을들어야좋을지모르겠고 적금종류도은행과비교했을때모르겠어요

종신도마찬가지입니다 어떤류의종신을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자세한답변부탁드립니다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박경식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결론먼저)

      1- 단기간 (10년정도까지는) 돈 모으는 거라면 무조건 저축!!

      2- 사망보장도 필요하고 노후준비도 필요하다면 종신!!

      3- 연금상품은 현재 금리로써는 그냥 비추입니다.

      ● 보장성상품으로 저축형태 가입

      ---> 요거 절대로 하지 마세요!

      5년 10년을 보고 저축을 하는데 누가 보장성상품을 권하던가요?

      지인한텐 절대 그럴 수 없으니까 지인 아니리라 믿을 께요

      - 중도 해지시 원금 손실의 리스크가 있고,

      - 5년 10년 꽉채웠을때 이자는 커녕 겨우 본전일텐데..

      확정금리??? 추가납입???

      뭔짓을 해도 가입자분이 좋을게 하나도 없습니다!

      절대 종신보험에 추가납 요거요거 절대 하지마세요!

      만약에 한다고 하신다면,

      5년이든 10년이든 납입하시고,

      이후에 최소 10년이상 거치하실 생각으로 하세요!

      그래야 은행이자 정도 나옵니다!

      사망보험금이 필요하면 당장 가입해도 되구요^^

      ● 보장성이 아닌 저축보험이나 연금도 마찬가지!

      5년을 보고 가입한다면, 이자가 거의 없습니다.

      제안서 받아서 해지환급표 보시면 답 나옵니다.

      ● 보험사 저축성 상품은 (몇년을 납입하시던 )

      가입일로부터 20년은 봐야 합니다.

      더 빨리 써야 한다!

      그러면, 은행에 적금 넣으시는게 낫습니다.

      손해 볼일은 없으니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수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은행 적금상품보다는 연금보험상품이나 종신보험상품이 이율은 더 높습니다.

      연금보험상품 가입 시 추후 연금이 개시되는 시점에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를 보시면 됩니다.

      연금보험상품은 세제적격형과 세제비적격형으로 구분되는데

      세제 적격형은 연말정산시 소득공제가 가능하며(연4백만원)

      세제 비적격형은 소득공제는 안되지만 계약을 10년이상 유지하면 이자소득에 대하여 비과세적용됩니다.

      종신보험도 내가 사망시 받는 보험금이 얼마인지를 보시면 됩니다.

      종신보험 역시 10년 이상 유지하시면 이자소득에 대하여 비과세적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조정기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문자님!

      질문하신 내용의 보험들을 알아보시기전에 질문자님의 건강을 위한 종합보험을 든든하게 가입하셨는지 먼저 살펴보셔야 합니다. 위에 질문하신 내용은 건강보험이 다 준비된 후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을때 가입하셔도 상관없는 보험들입니다. 아래 정리해드리는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질문자님 아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필수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보험들 및 그 내용을 정리하여 드립니다. 아래 정리해드리는 내용은 누구나 꼭 반듯이 필수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특약들을 정리한것입니다. 어느 회사의 보험을 가입하시든 적어도 제가 정리해드리는 내용은 모두 포함되어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보장을 든든하게 받으실 수 있습니다. 꼼꼼히 읽어보시고 질문자님의 건강한 미래를 잘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보험은 나이 성별 직업 그리고 건강정도에 따라 보험료가 다 다릅니다. 보험은 기본적으로(필수) 아래 세가지의 보험이 필요합니다.

      첫째 실손보험(착한실손으로 6월까지는 무조건 가입하셔야합니다) : 실손보험은 병원비를 보장하는 보험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병원 통원, 약재비, 입원비, 수술비등 발생된 병원비에서 자기 부담금을 제외하고 보상을 받는 보험으로 필수보험입니다.

      둘째 종합건강보험(나이에 따라 30세 미만은 어린이종합건강보험, 30세이상은 성인보험) : 종합건강보험은 큰 질병들에 대한 진단비 및 수술비등으로 구성됩니다. 기본적으로는 아래 내용이 반듯이 포함되어야합니다.

      1) 암, 뇌혈관, 심혈관질환에 대한 진단비 및 수술비 : 진단비는 많을 수록 좋으나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수술비는 무조건 가입하는 보험에서 허락하는 최고금액으로 가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진단비는 평생의 한번만 나오지만 수술비는 수술할때마다 보상을 받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뇌혈관, 심혈관의 경우는 재발의 확율이 높기때문에 수술비를 든든하게 보장받을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진단비 및 수술비는 정액으로 보상됩니다.

      2) 각종 질병 및 상해에 대한 일반 수술비 및 종 수술비 : 일반 수술비는 거의 모든 수술비에 대한 정액보상이 가능하며, 종 수술비란 질병분류코드에 의하여 1종부터 5종(회사마다 종의 차이는 있습니다)으로 구성되며 해당되는 질병이나 상해에 대하여 정액으로 보장됩니다(정액이란 가입당시 보장금액이 정해져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즉 가입당신 5종 수술비를 1천만원으로 계약을 했는데, 질병 발병후 5종 수술에 해당하여 수술을 받았는데 수술비가 5백만원밖에 안나올 경우도 있겠지요. 이때도 1천만원이 보상된다는 의미입니다).

      3) 64대 혹은 102대(회사마다 종류는 차이가 있습니다) 질병 수술비 : 역시 정액으로 보상되며 매 수술시마다 수술비가 보상됩니다.

      이와 같이 기본(필수)적인 보장내용과 더불어 더 많은 특약들이 있는데 그특약들로부터 필요한 것들을 골라서 추가로 가입하면 병원비 걱정을 많이 덜어낼 수 있습니다.

      셋째 운전자보험+상해보험 : 운전자보험과 자동차보험은 그 성격이 완전히 다릅니다. 자동차보험은 민사사고에 대한 보상을 하며, 운전자보험은 형사사고(중과실사고나 인사사고등)에서 운전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금액은 25000-30000원 사이에 가입하는 보험이지만 20년동안 100번의 사고가 나더라도 다 보상이 되며 보험료 인상은 없습니다.

      이곳에 질문자님이 아시고 싶은 내용을 모두 답변드리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내용만 답변을 드렸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나 보험가입에 관하여 더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제 프로필에 있는 전화로 연락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32개 보험사의 보험을 취급하는 전문가로서 질문자님께서 완전히 만족하실수 있도록 컨설팅을 해드릴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리첸코 테헤란본분 제4지점 조정기지점장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제영희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요즈음으 DGB단리 5프로 확정연금도

      좋구요

      푸르덴션 달러연금이라고

      종신도 연금도 보장되는게 있습니다

      궁금하시면 의뢰한번 받아보세요

      젊을수록 연금이나종신 일찍

      가입해두시면 더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채동현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보험사마다 조금씩 특약은 다릅니다. 요즘은 변액이라는 시스템이 나와서 적립금을 일부 펀드로 운용해서 수익성을 챙기는 보험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변액도 연금이 있고 변액종신도 있습니다. 그래서 작성자님의 목적에 맞게 가입 하시면 좋습니다.

      궁금한 상황 있으시면 말씀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유진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너무 광범위하게 질문하셔서 대략적인 큰 그림으로 설명드립니다

      연금은 크게 연금보험과 연금저축보험으로 나뉩니다

      연금보험은 노후를 대비한 연금으로

      연금저축보험은 세액공제로 절세효과를 가진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연금보험은 상품운용 방식에 따라 공시이율연금과 변액연금이 있습니다.

      은행저축과는 다른점은 일정요건을 충족하면 비과세 효과를 가지기에 장기적으로(10년이상) 가져간다면 상당히 좋은 상품입니다.

      종신은 사망보험금을 담보로 하는것으로 유니버설종신 gi종신 변액종신등으로 나눌 수 있을꺼같습니다.

      좋은설계사분만나셔서 충분한 상담 후 진행하시길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