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보람찬산양130
보람찬산양13024.01.04

창고 보관비용 계산은 어떻게 하나요?

일반 회사 내에 있는 제품창고 보관비용을 산출하고 싶습니다

LCL 말고 일반 물류창고 보관비용 계산법좀 알려주실분 계신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다음의 내용이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 보세창고비 계산에 필요한 정보
    1. 과세가격(물품가격+ 해상 운임 or 항공운임)
    2. 관세율 (대부분의 아이템은 8%~12%)
    3. 물품의 부피 (단위CBM: 가로1미터, 세로1미터, 높이1미터)
    4. 물품의 중량 (단위 TON)
    5. 창고 회사의 종가 기본요율 & 할증요율
    6. 창고 회사의 종량 기본요율 & 할증요율

    * 계산 방법
    1. 종가율은 감정가격에 관세를 더한 금액에 보관료율을 곱하여 계산.
    2. 종량율은 항공화물은 ㎏당, 선박화물은M/T당으로 계산하여, 중량톤 또는 용적톤 중 큰 것을 적용하여 곱하여 계산.
    (1CBM= 1TON 으로 간주하여 부피와 중량 중 큰 것으로 적용)
    3. 보관료계산시 적용요율은 해당화물의 보관일수에 해당하는 요율을 전기간에 대하여 적용.
    4. 보관료는 보관일수에 따른 기본료와 할증료를 합산.

    *추가 설명
    보관료= 종가요금 + 종량요금 + 부대요금(상.하차료)
    종가요금(종가율)= [과세가격 + 관세] X [기본료율 + (할증료율 X 보관일수)]
    종량요금(종량율)= [중량 (KG)] X [기본료율 + (할증료율 X 보관일수)]
    종가율은 감정가격에 관세를 더한 금액에 보관요율을 곱하여 계산
    종량율 경우 해상화물은 kg당 또는 CMB당으로 한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일반물류창고의 보관료는 어떠한 위치에 보관을 하는지, 그리고 그 안에서도 업체들마다 보관료율이 다를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해당 카테고리에서 직접적인 안내는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LCL은 아니라고 언급하셨으나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tradlinx.com/blog/guide/%EB%B3%B4%EC%84%B8%EC%B0%BD%EA%B3%A0-%EC%B0%BD%EA%B3%A0%EB%A3%8C-%EB%B3%B4%EA%B4%80%EB%A3%8C-%EA%B3%84%EC%82%B0-%EB%B0%A9%EB%B2%95/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창고보관료는 창고별로 상이합니다.

    지역별, 상품별, 온도(상온, 냉장냉동 등), 크기 등의 조건에 따라 창고보관료도 달라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상품 등을 특정하여 창고에 견적을 요청하여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해당부분은 지역별로 다르기에 명확하게 말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만 보통 보세창고와 동일하게 계산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요율만 차이가 있을뿐 대부분의 창고들도 중량이나 부피를 기준으로 창고료 계산을 하게 되며 따라서 하기 LCL화물 보관료 계산을 근거로 창고주와 이야기해봐야될듯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먼저, 부피가 큰 화물은 보관면적이 많이 필요하므로 보관비용이 높아지며, 중량이 무거운 화물도 보관면적이 많이 필요하므로 보관비용이 높아집니다. 또한, 보관기간이 길수록 보관비용이 높아집니다.

    추가적으로, 위험물이나 특수화물은 일반 화물보다 보관에 더 많은 비용이 청구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