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푸르르름
푸르르름

역참은 어떤 역할을 수행했던 곳인지 궁금합니다.

고대 중세를 보면 역참이라는 곳들이 있었는데


이 역참이라는 곳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 장소였으며


그 효용성이 무엇이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amorfati
    amorfati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참(驛站)은 고대에서 전근대까지 동아시아에 있었던 교통 시설 중 하나이다. 나라에 필요한 문서·물자를 운송하는 기점, 그리고 관리들에게 말을 빌려주는 역할을 하였다.


    역사

    중국의 역참

    역전(驛傳) 제도는 늦어도 고대 중국의 주나라 때부터 있었다. 몽골 제국의 잠치(ᠵᠠᠮᠴᠢ, ǰamči) 제도가 원나라 때 참적(站赤)이라는 이름으로 들어가 ‘역참’이라는 말이 생기게 되었다.


    한국의 역참

    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우역(郵驛, 간단히 역)은 공문서 전달, 관물 운송, 출장 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이었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우역의 기록은 신라 소지왕 9년(487년) 때로, 이 때 고역전(尻驛典)과 경도역(京都驛)이 설치되었다. 《고려사》에 따르면 고려 초기엔 6과 147속역, 11세기에는 22역도 525속역으로 개편되었다. 조선시대 《경국대전》에는 41역도 524속역 편성이 수록되어 있다. 갑오개혁 때 폐지되었다.


    일본의 역참

    일본에는 고대에 에키카(駅家)가 있었다. 에도 시대에는 슈쿠바와 다테바를 두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참은 고대에서 전근대까지 동아시아에 있었던 교통 시설 중 하나였습니다. 나라에 필요한 문서나 물자를 운송하는 기점이었습니다. 그리고 관리들에게 말을 빌려주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조선시대 의 역참 혹은 우역 (郵驛, 간단히 역 )은 공문서 전달, 관물 운송, 출장 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이었다고 합니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우역의 기록은 신라 소지왕 9년 ( 487년) 때로, 이 때 고역전 (尻驛典)과 경도역 (京都驛)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