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가장당당한블루베리
가장당당한블루베리

제 2의 IMF가 온다고 하는데 어쩌면 더 무서워진다고 하는데 어떻게 될까요 ?

제 2의 IMF가 온다고 하는데 어쩌면 더 무서워진다고 하는데 어떻게 될까요 ?

높아가는 집값과 그것을 잡기 위한 정책 등등으로 인해 제 2의 IMF가 온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런저런 정보들과 매체를 통한 뉴스를 확인하면 무서워지는데요 정확한 근거가 무엇이고 정말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외환위기에 대한 우려는 한국의 낮은 잠재성장률, 높은 부채, 복잡한 국제정세, 환율 급등 등의 복합적인 문제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급격한 자본유출과 환율의 변동성은 금융의 불안정을 심화시켜 우려를 키울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고금리, 부채, 부동산 리스크로 IMF때와 비슷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외환보유액, 국가 신용등급, 금융시스템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어 당시와 같은 국가 부도 가능성은 낮습니다. 다만 가계부채와 부동산 조정이 장기화되면 부분 금융위기로 확산될 여지는 있으므로 경계는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제2의 IMF가 오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지금은 제2의 IMF와는 거리가 있지만

    미국이 정말로 3,500억 달러를 현금으로 받아가게 된다면

    실제로 제2의 IMF 찾아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제2의 IMF 외환위기 사태가 올 가능성은 현저히 낮습니다. 많은 전문가들 역시도 우리나라 외환보유액 등을 고려했을때 외환위기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실적으로 보면 그때랑은 상황이 많이 다릅니다. 외환보유액도 충분하고 금융시스템도 훨씬 안정돼 있습니다. 다만 불안한 이유는 금리가 높고 경기 회복이 더딘데 집값이 다시 오르니까 심리적으로 위기 느낌이 커진 겁니다. 실제로 위기라기보단 침체 국면에 가까운 분위기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제 2의 imf가 온다고 하는것은 이전의 imf보다 규정이나 매뉴얼에 따른 위기감이 아니라 원화가치 하락에 따라 달러등의 외화를 개인이 가지려고 하며, 국고에 달러 보유량이 많지 않아 발생될 위기에 그러한 내용이 언급되는것이라곺생각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려몀 충분한 달러를 보유고에 넣고 원화의 가치를 올리기 위해 노렉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90년대 말 IMF 가 온건 사실 우리나라 국고에 달러 보유고가 없어서 온거였죠

    지금은 달러 보유고가 4000억 달러가 넘습니다 한화로는 570조가 넘죠 최근에 경기가 안 좋고 트럼프와의 관세 협상에서 미국에 3500달러 규모의 투자를 약속했지만 트럼프가 3500억 달러를 선지급하라고 말하면서 그런 말들이 종종 나오는거 같습니다 사실 말도 안되는 요구죠!!

    트럼프와 대미 투자 협상이 무사히 잘 마무리 되면 다시 그런 말은 나오지 않을꺼라 생각하구요 그러니 너무 걱정은 안하셔도 될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