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이 봄 가을이 되면 많이 가려워요~
눈 가장자리가 봄 가을 이 되면 많이 가렵고 어떨땐 괜찮다가 또 심하게 가려울때도 있고 한데 왜 그럴까요? 네이버 검색해보면 알러지때문 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좋은음식이나 관리방법이 있을까요?
눈 가장자리가 봄 가을 이 되면 많이 가렵고 어떨땐 괜찮다가 또 심하게 가려울때도 있고 한데 왜 그럴까요? 네이버 검색해보면 알러지때문 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좋은음식이나 관리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비염은 만성적으로 반복되는 질환입니다.
항원에 노출되면 과민반을 일으키면서 콧물이 나고 기침이 나고, 눈 주변 그리고 코 주변으로도 간지러움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한번 알레르기가 생기면 이런 항원에 노출이 되면 항상 증상이 생기게 됩니다.
때문에 항원과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법입니다.
특히 봄가을에 공중에 떠다니는 꽃가루나 식물 씨앗에 대한 알레르기를 많이들 호소하십니다.
이런 항원은 노출을 막기가 어려워서 계절성으로 발생하는 증상에는 항히스타민제 같은 약물로 조절하면서 대응하는 수 밖엔 없습니다.
증상이 너무 심하다면 어느 항원에 취약한지 추가적인 검사 및 치료가 필요할 수 있겠습니다.
알레르기 내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안녕하세요. 홍덕진 의사입니다.
환절기 때 심해지는 비염과 눈 가려움이라면, 우선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결막염을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은 실내환경을 개선하고 예방수칙을 철저히 따르는 겁니다.
바람이 많은 봄철에는 가급적 외출을 삼가고 보안경 등을 착용하거나 인공눈물 점안액을 자주 점안하여 항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이물질을 씻어내야 합니다.
콘택트렌즈는 평소보다 더 자주 세척하고, 에어컨, 선풍기 등 냉방기 속 곰팡이와 먼지를 제거하고 카펫 먼지나 동물 털이 날리지 않도록 청소를 자주 해야 합니다.
잘 때 냉방기를 세게 틀거나 창문을 여는 등 체온을 떨어뜨리는 것도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바깥에 떠다니는 꽃가루는 꽃가루 예보제 홈페이지(www.pollen.or.kr)를 통해 외출시 참고합니다.
외출 후 집에 돌아와서는 손을 깨끗이 씻으며 눈이 가려울 경우 비비지 말고 냉찜질로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알레르기 결막염 재발이 잦은 환자는 증상이 없는 시기에도 비만세포안정제를 2~4회 점안하여 결막을 항원에 대해 안정시켜 증상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