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의 유적인 첨성대 역할은 무엇이었나는지 궁금합니다
학창시절 신라시대 역사서에 나오는 첨성대를 직접 방문하고 사진도 찍고 나였습니다 생각보다는 좀 조잡해 보이던데요 이 첨성대에이 기능이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첨성대는 신라때 만들어진 천문관측대 라고 보시면 됩니다. 또한 첨성대는 옛날 별의 운행을 비롯하여 일식, 월식 등 천문을 관찰하는거 외에도 길흉을 점쳤다고 하는데 농사일에도 도움을 준 흔적이 보인다고 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첨성대는 신라 선덕여왕 때 세워진 것으로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 이며 당시의 과학수준을 엿볼 수 있는 문화재로 국보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첨성대 역할 >
농경사회에서 천문학은 농사 시기를 알려주는 역할을 담당 했을 뿐만 아니라 국가의 길흉화복을 점치는 점성술과도 연관이 깊었습니다. 첨성대는 국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관리되었으리라 짐작 할 수 있는데요. 현대에 와서는 빼어난 조형미를 갖춘 건축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사적으로 첨성대는 별을 보는 용도로 사용되었다고 전해지며 조선 후기까지는 이러한 의견이 이어졌으나, 광복 후 새로운 견해가 등장합니다.
첨성대의 역할이 천문대가 아니라 일종의 기념비, 제단, 창고 였을 것이라는 설이 있으며 종교적 상징물, 과학 수준을 과시하는 상징물, 선덕여왕을 신성화하기 위한 도구 등으로 사용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설은 고고학적 증거가 없어 확신이 불가능하며 주류 학계에서는 정사에 기록된 통설과 신라 천문기록의 정황 연구 등을 토대로 첨성대가 천문대였음을 정론으로 받아들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경주첨성대에 관한 최초 기록은 삼국유사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선덕왕지기삼사‘에 “선덕여왕 때 돌을 다듬어 경주첨성대를 쌓았다”라는 기록이 있다.
우선, 경주첨성대의 한자 의미를 풀어보면, 볼 첨(瞻)자는 “보다, 우러러보다, 자세히 살펴보다”의 뜻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경주첨성대란 “별을 관찰하기 위한 네모난 형태의 지상보다 높은 곳”으로 풀이할 수 있다.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사람이 오르내리면서 천문관측을 했다”’는 기록도 존재한다. 또한, 삼국사기에 나타나있는 신라의 천문관측기록을 비교해 볼 때, 경주첨성대 건립 후 4배 이상 기록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모든 기록이 경주첨성대에서 관측했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다하더라도, 이는 경주첨성대가 천문대로써 비교적 효율적으로 이용되었음을 나타내는 방증인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방법으로 천문을 관측했을까? 조선시대 세종실록에서는“가운데를 통하여 사람이 올라가게 되어있다.”라고 기록돼 있다. 바깥쪽에서 사다리를 놓고 창을 통해 안으로 들어간 후, 꼭대기에 올라 하늘을 관찰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정상에 관측기기를 설치하고 이용했는지의 여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다만,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와 달 그리고 별의 운행을 관측하며 하늘의 움직임을 예측했을 것이다. 또한, 그로 인해 농사시기를 결정하고 국가의 길흉에 미리 대비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경주첨성대를 폭넓은 의미의‘천문관측대’로 이해하려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으나 학계 일부에서 경주첨성대의 용도에 관한 다양한 학설도 제기됐다. (※의견: 가설은 자막으로만 언급, 현재는 이와 관련한 논쟁이 다소 잠잠해졌고 주첨성대를 천문대로써‘폭넓게’바라보려는 견해가 많으므로, 굳이 가설 하나하나를 자세히 설명하는 것은 맞지 않을 듯함)
그 중 하나의 가설은 경주첨성대는 그 내부에서의 관측 활동보다는 외부에서의 관측을 위주로 하는 규표(圭表)로서 세워졌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즉, 경주첨성대는 태양 광선에 의하여 생기는 해 그림자를 측정하여 태양 고도를 알아내 계절을 나누고, 하루의 시각을 결정하는 데 쓰인 측경대(測景臺)였다는 것이다. 실제로, 중국 당대(唐代)의 주공 측경대와 경주첨성대가 구조적으로 닮았다는 설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비록, 주공 측경대는 경주첨성대보다 76년 뒤에 설립되었지만, 같은 시대에 ‘천문 관측’이라는 같은 목적으로 세워졌다는 데서 뚜렷한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