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용어 중에서 선택적 배려, 주관적 배려라는 말이 있나요?
'배려'라는 정의 속에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혹시 심리학이나, 상담학, 사회복지학에서의 전문 용어 중에서 선택적 배려, 주관적 배려라는 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같은 행위라도 그 사람의 태도에 따라 배려 하는 것을 선택적 배려 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정말 친절과 배려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 라면 무조건적으로 친절과 배려는 하는 부분이 큰 것이 선택적 배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관적 배려는 내 생각의 따라 최소한 기본적인 에티켓을 지는 것입니다.
선택적 배려란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따라 배려의 정도나 방식을 조절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배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나 조건에 따러 선별적으로 배려를 실천하는 방식으로 공정성과 보편적 존중의 관점에서 비판받기도 합니다.
주관적 배려는 타인의 입장이나 감정을 객관적인 기준이 아닌 자신의 주관적 경험, 감정, 해석으로 바탕으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태도를 의미하며
심리학, 상담학, 배려 윤리 등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뤄진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선택적 배려라는 것을 알기 전에 배려는 누군가를 도와주거나 보살펴주기 위해서 마음을 쓰는 행위인데요. 복지의 개념이 들어 있습니다. 그래서 선택적 배려는 선택적 복지와도 연결이 됩니다. 선택적 배려는 모든 사람에게 하는 것이 아닌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따라 배려의 정도나 방식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선택적 복지는 특정 대상에게 필요로 하는 복지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어떤 분들은 선택적 복지보다 보편적복지가 사회적인 연대차원에서 좋다고 하지만 이는 이상일 뿐입니다. 복지는 현실에 기반해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지 이상을 쫓아서 하다가 제대로 된 복지조차 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자원이 풍부한 나라가 아닙니다.
수출을 통해서 먹고 사는 나라입니다. 자원이 없기 때문에 외국에서 수입해서 그것을 기반으로 제조해서 수입하고 먹고 사는 나라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현재의 경제상황을 놓고 본다면 선택적 배려인 선택적 복지를 우선해야 합니다. 그리고 주관적 배려는 심리학과 상담학에서는 주관적 존재라는 의미와 관련 있습니다. 주관적 존재는 인간은 환경에 단순하게 반응하는 존재가 아니라 환경의 의미를 해석하여 주체적으로 받아들이고 의미를 부여하는 존재라는 의미로 주관적 존재를 사용하고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한 상담이라는 배려가 주관적일 수 있다는 것으로 주관적 존재로 말하기도 하는 것입니다. 상담에서는 내담자의 주관적 경험과 감정을 존중하는 것이 핵심이기 때문에 주관적 존재에 따른 주관적 배려가 필요한 것입니다. 다만 선택적 배려, 주관적 배려는 학술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 표현이며 각각의 학문에서의 개념과 연결이 되는 의미로 파악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