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주식이 하루 상한가나 하한가가 정해져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주식을 하다보면 하나의 주식이 상한가나 하한가가 정해져있던데 굳이 따로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한도가 정해져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미국은 이러한 제도가 없지만 우리나라는 있는 이유가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시장이기 때문에

      가령 코로나와 같은 충격이 닥쳤을 때 너무 큰 폭으로 빠지게 되면 한 기업이 사라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이는 일종의 보호장치로 기업과 투자자를 위한 제한 장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하루의 생각할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과열되는 시장과 식어가는 시장을 막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에서의 상한가, 하한가 정해져있는 것은 변동성이 커지는 것을 방지해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급격한 가격 변동을 막아 시장 안정성을 유지하고 시장 과열을 막기위한 거래량 조절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시장의 안정성과 건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하한가 규정이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초기 자본시장은 유동성도 매우적어서 거래참여자가 많지 않았습니다

    거기다 제도화가 준비중이어서 작전주로서 급등시키고 바로 개인들이 몰려 다 던지는 이런 형태가 많았으며 약간의 시장매수세로도 크게 급등락이 일어났습니다 이런 환경속에서 변동성을 막고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상하한가제도가 있던것이며 과거엔 10프로 그다음 15프로로 점차 구간이 확대된것입니다

    즉 자본시장이 효율화되고 유동성이 커지면서 시장가격 왜곡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하한가제도는 결국 폐지될것으로 보입니다

  • 한국 주식시장은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일일 상하한이 30%로 되어 있습니다. 주식 가격이 과도하게 변경되어 투자자가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에는 상한, 하한가가 정해진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주식 시장에서 상한, 하한가 제도가 있는 곳은 거의 한국 정도인데

    이런 제도가 있는 것은 투자자들을 보호하고 시장을 보호하기 위한

    그런 제도적 장치라고 합니다.

  • 상하한가 제도가 존재하는 이유는 시장 안정성을 유지하고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주가의 급격한 변동은 시장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고 이는 일반 투자자들에게 큰 손실을 입힐 수 있습니다. 상하한가 제도는 이러한 위험성을 줄여 투자자들을 보호하는 장치로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변동성 폭을 제한하여 투자자를 보호하는 게 첫째 목표입니다. 미국 주식 시장은 가격 상승과 하락 제한폭이 없는데 이론적으로는 주식이 무한정 오를 수 있고 주식가치가 제로에 가깝게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 주식 시장은 미국처럼 크지 않고 시장 성숙도가 아직 미진하여 가격 제한폭을 두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상하 10%, 15% 였다가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현재는 상하 30%로 확대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증시엔 상하한가 제도가 있는데, 그 이유는 주가의 급격한 변동을 제한하여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