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친절한부엉이971
친절한부엉이97122.09.21

산성비라 맞지말라잖아요.비는 왜 산성인가요?

어릴때부터 산성비니 맞지말아라 .우산 꼭 써라 들은적이 있는데요. 비는 왜 산성인가요. 원래 산성인가요. 아니면 어떤 화학적인반응으로 산성으로 바뀌는건가요. 지역에따라서도 다르던데 왜그럴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21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의 일반비는 약산성으로 ph5.6 정도 입니다. 이는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렇습니다. ph5.6이하의 비를 산성비라 하는데 산성비의 가장큰 원인은 이산화황과 질소화합물 입니다. 주로 석유연료를 연소 하면서 배출되는양이 제일 많습니다. 이물질들이 대기중의 수증기 반응하여 황산 또는 질산으로 변하고,빗방울과 섞여서 내려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단 순수한 물자체도 약간 산성을 띠고있습니다. 또한 대기중의 매연인 이산화탄소나 이산화질소등이 물에녹으면 산성화가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산성비는 대기의 오염물질인 이산화황(SO2), 질소산화물(NOx) 등이 산화되어 묽은 황산화, 묽은 질산의 형태가 됩니다. 이것이 빗물에 녹아 산성비가 되는것이죠. 지역에 따라 대기중에 오염물질이 많으면 산성비가 내릴 수 있으며, 깨끗한 지역에서는 산성비가 아닐 수 있습니다.

    산성비가 내리면 토양의 양분에 악영향을 주며 식물 잎을 갈색으로 변하게 만듭니다. 또한 나무를 말라죽게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죠. 또한 산성비와 공기중 물질과 섞여 해로운 기체를 생성하며 산성 안개등을 만들어 잎의 기공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이러한 것들은 사람에게도 해가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손지형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내리면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빗방울에 녹아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대기의 구성 성분 중에서 이산화탄소가 물에 잘 녹는 기체이기 때문에 비가 내리는 중에 빗방울에 녹아 들어가는데,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게 되면 탄산이 됩니다(우리가 마시는 탄산 맞아요).


    물에 수소 이온(H+)이 녹아 있으면 산성이라고 하는데 이산화탄소가 탄산이 되면서 수소 이온이 나오기 때문에 비는 언제나 약산성입니다.


    우리가 산성비라고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약산성의 비가 아니라 다른 대기 오염물질(황산 등)이 녹아서 산성도가 더 높아진 비를 의미합니다.


  • 비는 어느 정도 산성도가 있지만

    환경오염으로 인해 비의 pH가 5.6 이하가 될 경우, 이것을 산성비라고 합니다.

    공장에서 매연 등으로 인해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이산화황(SO2)가 발생합니다.

    이것이 질소산화물과 만나게 되면 빗물에 녹아내리게 되어 비의 산성도가 높아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