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활발한당나귀246
활발한당나귀246

에너지 가격 변동이 2024년 하반기 글로벌 무역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요?

최근 국제 유가 및 천연가스 가격 변동의 주요 원인과 에너지 가격 변동이 수출입 비용, 물류비 등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은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2024년 하반기 국제 유가는 배럴당 평균 82달러 수준에서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23년 평균 가격과 비슷한 수준으로 급격한 변동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에너지 가격 변동의 주요 원인으로는 OPEC+의 감산 정책 유지, 미국과 브라질 등 비OPEC 국가의 석유 생산 증가 속도 둔화, 지정학적 위험과 기후 변화로 인한 불확실성이 있습니다. 안정적인 유가는 해상 운송 비용의 급격한 변동을 억제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홍해 교전 상황으로 인한 아프리카 경유 항로 지속은 추가적인 선복 수요를 발생시켜 물류비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 가격의 안정은 글로벌 무역의 지속적인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며, 2024년 1분기 이후 글로벌 해운 물동량이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이러한 경향이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업들은 에너지 효율성 향상과 대체 에너지원 활용을 통해 에너지 비용 변동에 대비하고 있으며, 정부는 에너지 안보 강화와 신재생에너지 투자 확대를 통해 장기적인 에너지 가격 안정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2024년 한국의 무역수지는 434억 달러의 흑자로 전환될 전망이며, 수출증가율은 9.3%로 예상됩니다. 글로벌 경제 성장률은 2024년과 2025년에 3.2%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어 전반적인 무역 환경은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2024년 하반기 에너지 가격의 안정세는 글로벌 무역 흐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지정학적 위험과 기후 변화 등의 불확실성 요인들로 인해 기업과 정부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최근 국제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국 경기 침체 우려, 공급망 문제 등으로 인해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에너지 가격 상승은 운송, 생산 비용 증가로 이어져 수출입 비용을 증가시키게 되었고, 물류 분야에서도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비용 증가의 영향이 있었고, 최종 소비자 물가 상승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에너지 자원 수입에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에너지 가격 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는 국가로, 정부와 기업은 에너지 효율 개선, 재생 에너지 투자 확대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논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는 원유나 천연 가스 등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물가상승, 환율 상승 등에 더불어 수입물가가 높아지는 현상이 있어 결국 이는 우리나라 수출제품에 대한 원가상승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는 현재 상당한 위기에 봉착해 있다고 보여집니다.

    아래의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0416118800003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러한 원자재의 가격은 현재 선물시장의 영향에 따라 출렁거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격 변화는 전세계적으로 스티키한 인플레이션을 야기하고 있으며 따라서 금리인하가 계속 늦어질 것이라는 것이 암시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