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휜재 바이러스는 생명체로 보고 있나요?

바이러즈는 숙주가 없이는 생존 및 분열을 할 수가 없다고 하는데 생명체의 범주에 들어가 있나요?

그리고 바이러스는 어떤 구조로 되어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직 학계에서는 논쟁이 많습니다.

    이미 예상을 하고 계시겠지만, 바이러스는 스스로 물질대사를 하지 못하고, 숙주 세포에 기생하여 숙주의 물질대사를 이용하기 때문에 생명체로 보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그러나 바이러스도 유전 물질을 가지고 있고, 변이와 진화를 거듭한다는 점에서 생명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는 주장도 상당히 많습니다.

    현재도 매우 첨예하게 대립중이죠.

    바이러스의 구조는 매우 간단합니다.

    유전물질과 캡시드, 그리고 경우에 따라 외피로 구성됩니다.

    즉, DNA 또는 RNA 형태의 유전 물질을 가지고 있으며, 유전 물질을 둘러싸는 단백질 껍질인 캡시드, 그리고 일부 바이러스는 캡시드 바깥쪽에 지질로 이루어진 외피를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전문가입니다.

    생명체의 정의는 외부자극에 반응하며 항상성을 유지하고 생식활동으로 자신의 유전자를 가진 자손을 만드는 것입니다.

    바이러스는 이 3가지 조건을 만족하지 않기 때문에 생명체로 보고 있지 않습니다.

    바이러스는 단순한 유전자 조각으로 세포에 들어가 세포내의 소기관을 이용해서 유전자복제를 하는 물질입니다.

  •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생명체와 무생물의 중간에 있는 존재로 보며, 과학계에서도 완전한 생명체로 보지는 않습니다. 스스로 대사나 번식을 하지 못하고 숙주 세포에 들어가야만 증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구조는 단순하게 유전 물질인 DNA나 RNA가 중심에 있고, 이를 둘러싸는 단백질 껍질인 캡시드로 구성되며, 일부는 지질막인 외피를 추가로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