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나혼자산낙지
나혼자산낙지

요즘 물가 오르는데도 금리는 내려가나요?

뉴스 보면 “ 물가 상승세가 이어지지만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진다” 이런 말이 자주 나와요. 직관적으로 물가가 오르면 금리도 올라야 할 것 같은데, 왜 반대로 움직이는건지 이해가 안돼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물가는 오르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금리는 지속적으로 동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반대로 미국은 금리를 내릴 것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환율이 잡힐 수 있고 해당 환율이

      잡히면 수입 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물가 오르는 것에도 금리가 내려가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물가는 어느 순간에도 오르게 됩니다.

    중요한 포인트는 얼마나 빠르게 오르냐로

    물가 상승이 둔화되면 금리 인하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오르는데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는 건 경기 둔화 신호 때문입니다.

    물가 상승이 이어져도 성장 둔화 시 중앙은행은 금리 완화로 경기 부양을 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물가가 올라가면 금리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금융정책에서는 올라가는 물가는 정부에서 그냥 두지 않습니다.

    물가상승은 경제에 안좋은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정책적으로 금리를 (인위적으로) 낮춰 물가 상승을 억제 합니다. 금리를 인하시켜서 물가를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은 금리인하를 수요(기업의 투자와 가계의 수요)를 늘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물가를 안정화 시킵니다.

    즉 물가가 올라가서 금리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고 정확하게 물가가 올라감으로 정부에서 금리인하 정책을 펴 금리를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는 오르더라도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는 현상은 단순히 현재 물가 수준이 아닌, 물가 상승률의 둔화 추세와 심화되는 경기 둔화같은 복합적인 요인 때문이에요.

    중앙은행은 고금리 정책이 물가를 잡는 데 효과를 보이면서도, 이로 인해 경제 성장이 크게 둔화될 위험을 신경써야합니다.

    따라서 시장은 물가 피크가 지났다고 보고,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중앙은행이 조만간 금리 인하로 정책 기조를 전환할 것이라고 기대하며 움직이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