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부품까지 관세한다는 트럼프의 무역정책은 무역업계에 어떤 함의일까요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엔 자동차 배기 시스템처럼 제조 공정과 관련된 제품에도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확대한다는데 앞으로 자동차 산업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무역 전략 변화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자동차 부품까지 관세를 매기려는 움직임은 단순히 특정 산업 보호 차원을 넘어 전략적 무역 압박으로 해석됩니다. 부품 단계에서 관세가 부과되면 완성차 제조사들은 생산 비용이 높아져 해외 조립라인을 재검토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을 미국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의도와 연결됩니다. 특히 배기 시스템 같은 핵심 부품은 대체 수급이 쉽지 않아 비용 전가가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무역업계 입장에서는 미국 시장 진출 전략을 다시 설계해야 하고 기존 자유무역 협정의 효력도 시험대에 오를 수 있습니다. 투자 측면에서도 부품사와 완성차 간 협력 구조가 흔들리며 산업 전반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 현재로서는 중복부과 혹은 자동차 부품임에도 불구하고 철강, 알루미늄 관세 부과 여부가 가장 큰 이슈라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자동차 및 부품 관세는 15% 인하 가능성이 높은데 이러한 부품 중 일부에 대하여 중복부과의 가능성이 있기에 기업 입장에서는 유의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어떠한 제품에 대해 어떤 관세가 부과될지에 대해 일단 hs code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다만, 현재 가장 높은 수준인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대한 대상이 된다면 그 타격은 상당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특히 파생제품들에 대한 확대가 계속 이루어지는 부분에 있어서 문제가 될 여지가 있습니다.
일단 파생제품들에 대해서는 함량관세가 부과되어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공급망 관리 원산지관리 등이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