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절하는 횟수가 다른 이유가 뭘까요?
명절에 세배는 1번, 제사 지낼때 하는 절은 2번, 절이나 암자에서 절하는 횟수는 3번..
이렇게 경우와 상황에 따라 절하는 횟수가 다른 이유가 뭘까요?
어떤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아니면 예전부터 내려오는 인습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제사때 하는 절은 남자는 2번
여자는 4번을 합니다. 여자가 4번을
하는 이유는 음양의 구분으로
양의 수는 1,음의 수는 2로 간주해서
음인 여자가 4번을 하게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산 사람에게 하는 절은 기본 횟수만 하고, 의식행사와 제사 등 죽은 자에게는 배로 하는 것이 절 횟수의 기본입니다.
보통 제사때 절 횟수는 남자2번, 여자4번이며 회갑도 평소와 다른 의식이며 극진한 공경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남자는 2번, 여자는 4번 절합니다.
절의 기본횟수는 남자는 양 이기때문에 최소 양수인 한번, 여자는 음 이기때문에 최소 음수인 두번을 하게 됩니다.
제사의 절은 극진한 공경, 절을 받는 대상이 음이기 때문에 평상시의 두배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산 사람에게는 절을 1번, 죽은 자에게는 2번을 하는 것입니다.
절에서 스님에게 3번 절하는 관행이 있으나,
현재 불교계에서는 그 관행이 잘못된 것이며 고쳐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