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홀 주변에 있으면 시간지연 현상은 왜 일어나는 건가요?
인터스텔라에서 블랙홀 주변에 있는 것 만으로 시간 지연이 발생했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극심하게 시간지연이 발생할 수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얼마나 근접해야 얼마만큼의 시간지연이 발생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블랙홀 주변에선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해서 중력자체가 시공간을 휘게 하기에 그 결과로 시간이 천천히 흐르는것으로 확인되는 것이지요~ 이렇나 현상을 중력에 의한 시간지연현상이라ㅗㄱ 이야기하며 이는 시공간의 왜곡이 중력이 강한곳에서 나타나며 외부 관찰자 입장에서 중력장 안의 시계가 더 천천히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나타나게 되는 현상이지요~ 사건의 지평선은 블랙홀의 경계로서 빛조차 탈출할 수 없는 곳인데요 사건의 지평선에 가까워질수록 시간이 극단적으로 느려지게 되며 사건의 지평선에 도달하면 시간이 완전히 멈춘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인터스텔라의 가상 블랙홀인 가가른츠는 1시간동안 흐르면 외부에선 7년이 흐른것처럼 보이는 것으로 보이며 그만큼 굉장히 강한 블랙홀인것으로 여겨지지요~ 이러한 중력의 시간지연현상은 우리지구에서도 느껴질수 있습니다~ GPS 시스템이 그 대표적인 예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