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3.11.13

자기통제력이 잘 안되는 아이는 부모는 어떠한 노력을 해야할까요?

주변에서든 가족이든 보면 자기고집대로 하고 본인위주의 사고에 갖혀서

엄마의 말을 절대 안 듣고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아이를 종종 봅니다.

저희 조카도 마찬가지로 그러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런 아이에게 부모는 어떠한 대응을 해야하는지 알려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13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기통제력이 없는 아이를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가 궁금하군요.

    아이가 고집을 피울때는 어떤 대화를 하려고 해도 말이 안통할겁니다.

    따라서 아이가 조금 안정이 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부정적인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ㅁㅁ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기통제력은 부모나 양육자의 양육방식과 관련성이 높고 비교적 이른 나이부터 발달합니다.

    부모의 자기통제 행동은 자녀에게 모델이 되어 자기통제력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불가능한것이나 위험한것등에 대해서는 적절한 한계를 정하게 해주시는것이 좋으며

    과도하게 떼를쓰거나 할떄는 아이에게 감정을 조절하고 스스로 진정시키는법을 알려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고집이강한아이는

    가정내육아시 훈육이나조절이안된것이크기에

    이런것들에대해적절한한계를정하면좋을수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기 통제력이 부족한 아이들에게는 이러한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단호하게 말을 해주시면서 왜 이러한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정확하게 설명을 해주도록 하세요.

    아이의 행동이 개선될 때 까지 자주 반복적으로 말하여 주시면서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자기 통제가 안되기에

    이럴 때에는 아이를 혼내시고

    참는 연습을 시켜주어야 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무언가 참도록 하시고

    자기 스스로 인내할 수있는 훈련 등을

    부모님이 시키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고집을 부리는 행동에는 반응하지 말고 고집을 부리지 않고 상황에 적절하게 행동했을 때 관심을 보이고 자주 칭찬해 주시는게 좋아요. 고집피운다고 모든걸 얻을수 없다는것을 아이가 깨닫게 하는게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 아이들은 자기 중심적인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고집도 쎄고, 떼도 잘 부린답니다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이런 행동들은 줄어들게 되어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가요?

    어린 아이들은 자기 통제력이 잘 되지 않습니다

    계속해서 부모가 알려주고, 가르쳐줘서 바른 행동 교정으로 시켜줘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