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우장춘 박사의 우의 삼강형(U's Triangle)이론은 무엇인가요?

우장춘 박사가 발표했고 세계 육종 교과서에 대부분 인용되고 있는 우의 삼각형 이론은 어떤 내용이며 육종학에서는 어느 정도의 가치를 가진 이론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장춘 박사의 ‘우의 삼각형(U’s Triangle)’ 이론은 십자화과 식물의 진화 과정과 관계를 설명하는 유전학적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서로 다른 종이 자연적인 교배를 통해 새로운 종으로 진화할 수 있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죠.

    삼각형의 꼭짓점에 해당하는 종은 이배체로, 세포 하나에 같은 염색체가 한 쌍씩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브라시카 라파는 세포 하나에 10개의 염색체가 한 쌍씩 있으므로, 모두 20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우의 삼각형은 세 종을 기반으로 합니다.

    AA (n=10): 브라시카 라파(Brassica rapa) - 배추, 순무 등

    BB (n=8): 브라시카 니그라(Brassica nigra) - 흑겨자

    CC (n=9): 브라시카 올레라케아(Brassica oleracea) - 브로콜리, 양배추, 케일, 콜리플라워 등

    그리고 세 종 사이에 자연적인 교배가 일어나면, 새로운 종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실제 몇몇 사배체 종이 존재합니다.

    AABB (n=18): 브라시카 윤케아(Brassica juncea) - 갓 등

    AACC (n=19): 브라시카 나푸스(Brassica napus) - 유채 등

    BBCC (n=17): 브라시카 카리나타(Brassica carinata) - 에티오피아겨자

    이렇게 우의 삼각형 이론은 현대 육종학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이론으로 평가받고 있죠.

  • 안녕하세요

    우의 삼각형은 우장춘 박사의 성을 따 만든 이름이며

    우장춘 박사가 연구한 배추속(십자화속) 식물들의 유전적 관계를 보여주는 삼각형 입니다.

    흑겨자, 배추, 양배추 그리고 갓, 유채, 에디오피아겨자의 염색체 쌍수 비교로

    갓, 유채, 에디오피아겨자 등이 흑겨자, 배추, 양배추간의 교잡으로 생겨났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이들의 관계를 도식화하여 삼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를 우의 삼각형이라고 부릅니다.

    기존 다윈 진화론에서는 서로 다른 종의 합성으로 새로운 종이 나올 수 없다고 보았는데,

    대부분의 생물에서 맞지만 몇몇 식물종에서는 실제로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몇몇 식물들은 교잡하여 4배체인 잡종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런 이론은 서로 다른 종의 식물들을 교잡하는 시도를 늘어나게 하면서 새로운 품종의 식물 개발에 박차를 가했습니다.

  • 우장춘 박사의 '우의 삼강형(U's Triangle)' 이론은 식물 육종 분야에서 획기적인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육종 과정에서 세 가지 주요 요소인 유전적 다양성, 선발 이론, 그리고 재조합 육종 기술의 균형과 조화를 강조합니다.

    유전적 다양성은 육종 소재가 되는 유전자원의 다양성을, 선발 이론은 우수 형질 선발을 위한 이론적 뒷받침을, 재조합 육종 기술은 유전자 재조합 기법 등 첨단 기술을 의미합니다.

    이 세 요소가 삼각형 모양으로 균형을 이룰 때 가장 이상적인 육종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론의 핵심입니다. 우의 삼강형 이론은 과학적 이론과 실용적 기술을 아우르는 총체적인 육종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육종학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 우의 삼각형 이론이란 ‘종의 합성’ 이론으로 서로 다른 종이 교배를 통해 새로운 종으로 진화할 수 있음을 증명해 현대 육종의 시작을 알리는 이론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요, 이 이론은 현존하는 품종들 간의 교잡으로 새로운 종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으로, 지금은 당연한 사실 같지만 1935년 당시에는 다윈의 진화론에 나오는 '종은 자연도태의 결과'로 같은 종끼리만 교배가 가능하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었습니다. 그러나 우장춘 박사는 종은 달라도 같은 속의 식물을 교배하면 전혀 새로운 식물을 만들 수 있음을 입증해 당시 학술계에 큰 파장을 일으킨 바 있습니다. 해당 이론은 배추, 양배추, 무 등이 서로 다른 종이지만, 유전적으로 서로 교배가 가능하며, 그들의 유전자 구성이 삼각형 관계를 이룬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이들 식물의 진화 과정과 유전적 유사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우의 삼각형 이론은 식물 유전학과 육종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유전, 환경, 이들의 상호작용이 식물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합니다. 이 이론은 식물의 특성이 이 세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며 각각의 요소가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습니다. 우의 삼각형 이론은 육종학에서 식물의 품종 개량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이론적 기반이 됩니다. 이 이론은 세계적으로 육종학 교과서에 널리 인용되고 있습니다.

  • 우장춘 박사의 삼각형 이론을 간단히 말하면 서로다른 두 종의 교잡을 계속해서 진행하면 전혀 새로운종을 만들 수 있다는 당시에는 굉장한 파란을 일으킨 이론입니다.

    삼각형을 구성하는 각 식물들의 유전체 분석을통해 이러한 내용을 직접 증명하면서 논란을 종식시키기도 하였는데, 과거의 흑겨자가 갓과 에티오피아 겨자로 분화되며 다른종이 되고, 이후 갓은 배추로 분화, 에티오피아 겨자는 양배추로 분화하면서 유전적 성질이 서로 비슷한것이 남아있지않은 전혀 다른종이 되기까지 하였습니다.

    하지만 양배추와 배추를 교잡했을 때 유채라는 식물이 만들어지면서 결국에는 흑겨자라는 하나의 개체에서 다른종으로 분화했지만 유채라는 하나의 새로운종이 만들어진것입니다.

    즉, 하나의 개체에서 나눠졌다가 다시 하나가 되었지만 그 식물의 종은 전혀달라졌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발견은 현재 수많은 교잡품종을 개발하는데 응용되고있으며 더 다양한 생물종과 식량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습니다.

    특히 당시에는 가난하던 대한민국에 양질의 식용식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