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금처럼의희망
지금처럼의희망

비행기가 지나가면 길게 구름이 생기는 이유?

일상생활중 비행기를 바라보며는 비행기가 지나가면 길게 구름이 생기는 것을 보게 됩니다. 어떻게 해서 구름이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잘 아시겠지만 비행기 엔진은 연료를 태워 추진력을 얻지요~ 이 과정에서 물(H2O)과 이산화탄소(CO2) 등의 배기가스가 발생하는데. 이때 발생한 물이 증기 형태로 배출됩니다. 비행기가 고도 높은 대기층(대략 8km~12km)을 비행하게 되는데, 이곳의 기온은 매우 낮습니다(섭씨 -40도 이하). 따라서 엔진에서 나온 뜨거운 배기가스가 차가운 대기와 만나면, 물증기가 급격히 냉각되어 작은 얼음 결정이나 물방울로 응결되면서 우리가 하늘에서 보는 하얀 구름처럼 보이게 되는데 우리는 이것을 비행운이라고 부릅니다. 비행기가 매우 빠른 속도로 대기를 가로지르면서 공기가 급격히 압축되기도 하며 압축된 공기가 다시 팽창하면서 온도가 낮아지고, 이로 인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비행운이 형성하기도 하지요~ 비해운은 주로 날개 끝이나 엔진 근처에서 발새앟게 됩니다~ 비행운이 생긴 후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는 대기의 습도와 온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기가 매우 습한 경우 비행운이 더 오래 지속되고, 더욱 두꺼운 구름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반면, 대기가 건조한 경우 비행운이 빨리 사라집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