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교과서가 전면 도입된다고 하던데 아이돌
이제 전면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다고 하던데요 기존 종이책 대신해서 태블릿으로 공부하다보면 무게적인 부담은 줄겠지만 디스플레이를 오래 보는게 눈 건강에는 좋지 않는게 않을까 싶더라고요. 또 온라인 환경에서는 공부 중에도 게임이나 영상같은 공부에 방해되는 것들이 많아서 집중력이 떨어지지 않을까 걱정되더라고요. 실제로 학교와 가정에서 병행할 때 어떤 장점과 단점이 나타날지, 그리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마련돼 있는지 궁금합니다.
디지털 교과서 전면 도입과 이에 따른 가이드라인이 마련 되어 있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시한 ai 디지털 교과서 개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학교에서 교사 연수 강화, 학습 시간 조절, 보안 관리, 학교운영위원회 심의 등
가정에서는 사용시간 관리, 디지털 웰빙 교육, 기기설정, 부모 모니터링 등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디지털 교과 도입은 맞춤형 학습과 접근성 향성 등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만, 기술의존과 학습 격차 등 부정적인 영향도 존재 하겠습니다.
장점은 개인별 맞춤학습, 즉각적 피드백, 다양한 학습자료, 접근성 및 편의성, 교사 역할 변화 등이 있으며
단점은 기술 의존성, 학습격차, 정보과부하, 교사의 역할 감소, 프라이버시.보안문제, 비판적 사고 저하 등이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디지털 교과서 전면 도입은 가방 무게를 줄이고 멀티미디어 학습, 즉각적 자료 검색 등 장점이 있지만, 장시간 화면 사용으로 인한 시력 저하, 집중력 분산 우려가 있습니다. 일부 시범학교는 종이교재 병행, 사용 시간 제한, 블루라이트 차단, 수업전용모드 등 가이드 라인을 마련했습니다. 학교, 가정에서 기기 사용 목적과 시간을 명확히 정해주는 관리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우선은 디지털 교과서가 교육자료로 격하되면서 전면 도입이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학교 현장에서는 종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하되, 필요 시 디지털 교과서는 부차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보이므로 크게 우려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오히려 최근에는 디지털 사용과 몰입이 크기에, 디지털 기기와 자료의 사용 빈도를 줄여나가는 추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