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료를 비싸서 싸게 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보험료가 나이가 어린 사람입니다. 20살의 청년인데 보험료가 많이 나오면 현재 가족으로 함께 안되어계신 아버지 (이혼) 에게 보험을 들어도 가능한 부분인가요??
안녕하세요. 남현아 보험전문가입니다.
이혼한 아버지도 가족관계증명서에는 확인 됩니다.
아버지 명의로 가입하면 됩니다.
하지만 어린나이로 인한 보험료는 어찌 할수가 없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자동차보험을 물어보는거라면 어머니와 이혼은 했어도 본인하고는 가족입니다 그러면 자동차를 아버지 명으로 구입을 해야하고 피보험자가 아버지로 계약자는 본인이 되어도 되며 가족한정이나 지정 1인으로 가입하면 됩니다 그런데 물어본 내용이 궁금한점이 무엇인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아하 커뮤니티 지식 파트너사 시그널플래너입니다.
어떤 보험을 말씀하시는건지 정확하지 않습니다.
20살 청년이 보장받기 원하는 보험이라면,
계약자가 아버지여도 보험료 기준은 보험 혜택을 보는 20살 청년이기에 보험료 변동은 없습니다.혹 자동차보험이라면 차의 명의를 공동명의로 하시는 방법, 아버지 밑으로 들어가는 방법등도
있습니다.
영업전화가 없는 채팅 보험상담 앱, 시그널플래너에서 답변 드렸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지금 말씀하시는 보험이 건강보험인 경우라면 피부양자 등록 자격에 해당이 되시는
경우에 한해서 아버님의 피부양자로 등록은 가능합니다.
즉, 자격이 되시고 가족이라는 것을 증빙 할 수 있으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자동차보험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자동차보험을 이혼하신 아버지가 가입하시려면 차량 지분이 있어야 합니다. 지분1프로 주시고 가입후 피보험자 1인 추가 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를 내는 사람을 계약자, 보장받는 대상이 피보험자입니다.
본인이 피보험자이면서 보험료는 가족이 계약자로 내줄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과 아버님은 가족이시기 때문에 아버님의 명의로 자동차보험을 가입하시고 추가로 넣으시면 됩니다.
사고를 내신다고 해도, 아버님에게 할증이 가기 때문에 본인에게는 큰 지장은 없을 겁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