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칠공주파리더
칠공주파리더

루이 파스퇴르가 세균학 관련해서 업적을 남긴 내용이 무엇인가요?

저는 우유 가공업 관련 권위자인 줄로만 알았는데 실제로는 다른 사실을 오늘 알았네요. 미생물 관련해서 기존의 이론을 반박하고 세균학 관련해서 대단한 업적을 쌓았다고 하는데(현재 브랜드도 그러한 위명을 얻고 창업한 것 같지만) 혹시 어떤 이론이고 업적인지 궁금합니다.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신 루이 파스퇴르는 19세기 미생물학과 세균학의 기초를 세운 과학자로서, 오늘날 감염병 이해와 백신, 식품 위생 기술의 토대를 마련한 인물로 평가받는데요 특히 그는 질병이 자발적으로 발생한다는 ‘자연발생설’이 아니라 미생물에 의해 전염된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입증하여 세균학의 근본 개념을 정립하였습니다.

    파스퇴르는 백조목 플라스크 실험을 통해 공기 중 미생물이 없으면 부패가 일어나지 않음을 보여주었고, 이를 바탕으로 발효가 단순한 화학 변화가 아닌 미생물의 생물학적 활동임을 밝혔습니다. 또한 그는 미생물이 식품 부패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이용하여 저온 가열로 미생물을 억제하는 저온살균법)을 고안하여 우유, 와인 등 식품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게다가 파스퇴르는 닭 콜레라, 탄저병, 광견병에 대해 약독화된 병원체를 이용한 백신 개발에 성공하여 인류 최초의 현대적 백신 기술을 확립하였으며, 광견병에 대한 백신은 실제 환자에게 투여되어 생명을 구하는 역사적 사례를 남겼습니다. 이러한 업적은 감염병 예방과 위생 의학, 식품 미생물학 분야 발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고, 파스퇴르는 오늘날에도 세균학의 아버지라는 칭호로 불리기도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루이 파스퇴르는 세균학 뿐만 아니라 생물학 전반과 실생활에도 밀접하게 관련된 매우 큰 업적이 있습니다.

    파스퇴르는 저온 살균법을 고안했으며, 이는 액체나 그에 가까운 식품들을 살균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살균법입니다. 대표적으로 물, 우유, 주스 등 다양한 식품에 활용되며, 고온 살균법 사용시 변질되는 식품들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저온 살균법은 영어로는 일반적으로 파스퇴르의 이름을 따 pasteurization라고 부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파스퇴르는 자연발생설을 실험으로 반박해서 미생물이 외부에서 유입되어서 증식한다는 생물속생설을 확립했고, 이를 바탕으로 백신개발이나 멸균방법, 저온살균법 등 현대 세균학의 핵심원리를 체계화한 사람입니다.

    특히 탄저나 광견병백신개발과 무균배양기법의 정립은 이후 감염병의 예방과 산업 미생물학의 기초기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파스퇴르가 우유와 관련된 저온 살균법으로 유명하긴 하지만, 이는 그의 수많은 세균학 및 미생물학 업적 중 하나일 뿐이며, '세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무엇보다 루이 파스퇴르는 미생물학의 근본을 확립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업적은 백조목 플라스크 실험을 통해 수천 년간 믿어온 자연 발생설을 과학적으로 완벽히 반박한 것입니다.

    파스퇴르는 생명이 무생물에서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생명으로부터 유래한다는 생물속생설을 입증했는데, 이 연구를 바탕으로 부패와 질병이 공기 중의 미생물에 의해 발생한다는 미생물 병원설을 확립했으며, 이 병원설은 현대 의학과 공중 위생의 기초를 확립한 것이죠.

    그리고 파스퇴르는 병원균의 독성을 약화시켜 면역력을 얻게 하는 백신의 원리를 확립했으며, 이 원리를 적용하여 당시 치명적이었던 탄저병과 광견병 백신을 개발했습니다.

  • 미생물이 질병과 발효의 원인임을 증명하는 세균설을 확립했습니다. 그는 생명체가 무생물로부터 저절로 발생한다는 기존의 자연발생설을 반박하기 위해 백조목 플라스크 실험을 고안, 공기 중의 미생물이 존재하며 이들이 번식하여 부패를 일으킴을 과학적으로 입증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포도주 등 식품의 변질을 막는 저온 살균법(파스퇴르법) 개발로 이어졌으며, 나아가 탄저병, 광견병 백신을 개발하여 특정 미생물이 특정 질병의 원인임을 밝혀내 현대 세균학과 면역학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