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이 빠지면 채권, 금이 강해져야하는데 왜 다 같이 약해지죠?
보통 주식이 빠지면 채권이나 금 달러 등 안전자산이 강해지는게 보편적인데
이번엔 왜 주식도 빠지는데 채권도 빠지고 금도 최고치 찍고 빠지고 달러도 약해지고
제 얉은 상식으론 이해 할수없는데 전문가분들의 분석을 듣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 빠지면 채권, 금이 강해지는데 왜 다 같이 약해지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그런 상황이 일반적이기는 하지만
최근 미국의 관세 문제가 불러일으키는 문제는
세계 경제가 기존에 마주하지 못하는 문제여서
그런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채권·금·달러가 동시에 약세를 보이는 상황은 인플레이션 지속, 금리 불확실성, 지정학적 리스크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때 발생합니다.
이런 시기에는 유동성 자체가 위축되며, 투자자들이 리스크 회피 대신 ‘현금 확보’에 나서면서 모든 자산군이 일시적으로 하락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금과 달러는 서로 대체관계인 동시에, 채권 금리 급등 시에는 금 수요도 감소해 동반 약세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결국 안전자산조차 피난처가 되지 못하는 '리스크 오프+불확실성 확대' 국면으로 보는 것이 전문가들의 해석입니다.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달러랑 미국채 가격이 하락하는건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미국 경기 침체징후를 보이고 있고 상호관세정책으로 eu 및 중국 등 대부분의 나라들이 반발을 하니 안전자산인 미국채와 달러를 불신하는 현상이 생기면서 약세를 지난주 보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금은 최고가를 찍고 기간조정 잠깐 하는거 정도로 보이구요 증시는 지난주 후반부터는 반등 나오는 상황이니 좀 더 지켜봐야 할거 같습니다
금융시장이라는게 딱 안전자산이 강하면 위험자산이 하락한다 공식처럼 움직이면 좋겠지만 다양한 변수로 인해서 각기 다르게 가격이 움직이는 경우도 허다하니 결국 그래서 대응을 잘 하는게 어려운거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 남발로 미국에 대한 신뢰가 크게 흔들리면서 안전 자산들이 요동치고 있는데요. 말씀하신 대로 주식 시장이 안 좋을 땐 미국 달러, 채권 가격은 상승 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이번 관세 전쟁에서는 기이한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만 금 가격은 우상향 하고 있다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동맹국들에 대한 대규모 관세부과 등 예측할 수 없는 경제정책들을 펼치고 있어 경제와 금융시장 또한 예측 가능성이 크게 떨어졌고 기존 이론대로 움직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렇게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변동성이 높아지는 시기에는 신중히 투자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물론 대체 자산으로 주식이 빠지게 되면 금이나 채권으로 자산이 몰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하락은 말그대로 급락과 급등이 반복되기 때문에 증시를 떠날 타이밍이
없었습니다
또한 채권의 경우는 지속적인 매도속에 가격이 오히려 하락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만약 이번이 미국 주식의 지속적인 하락이 예상된다면 기회가 될 수 있지만 그 반대가 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에 주식시장에서 문제가 아니라 상호관세가 본격적으로 나오게 되면서 서서히 미국의 달러자산의 매도가 조금씩 나오게 되었는데 이때 미국의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더 확대되면서 미국의 경기침체와 이로 인해서 미국의 국채발행이 증가한다는 우려까지 제기되면서 미국 장기국채의 매도세가 거세게 나오게 되고 이로 인해서 국채시장은 주식시장보다 훨씬 크고 레버리지가 매우 큰데 이로 인해서 미국 장기국채의 투매가 본격적으로 나오면서 마진콜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서 기관들이나 헷지펀들이 당장 현금이 필요하다보니 금이나 원자재 모든 자산으로 투매가 나오게 되면서 모두 하락하는 이례적인 현상이 최근에 연출된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말 날카로운 질문 입니다.
말씀처럼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과 금,채권 특히 미국의 10년물장기채권 같은 국채는 안전 자산으로서 디커플링이 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 입니다.
하지만 최근에 트럼프의 과격한 관세 정책으로 인하여 자산의 급격한 하락으로 오히려 금, 채권을 투매하여 자산의 마진콜을 대비하기 위한 움직임이 포착되었으며 일각에서는 중국에서 미국채권을 매도 하였다는 설이 나오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헤지펀드들이 매도를 하였다는 것이 합리적인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