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다소신비로운감자칩
다소신비로운감자칩

코인과세를 하면은 해외 거래소를 하면 된다 우회하면 된다라는 말이 맞나요

동남아 같은 데에는 코인 거래소에 수수료가 없거나 매우 적다는 말이 있던데 사실인가요 코인과세를 하면은 해외 거래소를 하면 된다 우회하면 된다라는 말이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해외거래소로 이동하게 되면 국내 국세청에서 확인이 불가하고 자료요청을 해도 그쪽에서 주지않기 때문에 알수가 없습니다

    거기다 개인지갑에 넣고 DEX거래소인 쥬피터나 유니스왑등에서 지갑연결후 테더로 바꿔도 전혀 확인이 어렵습니다

    다만 원화로 교환을 위해서는 국내거래소로 이동을 할수밖에 없으므로 이경우에는 세금이슈가 발생할수 있으며 문제는 취득원가를 어떻게 볼지는 아직 전혀 알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지금은 맞는말입니다

    • 다만 2년이 유예될 동안 해외거래소에서 얻은 수익도 규제할 수 있는 방법을 찾거나 국내에서는 해외거래소를

      차단하는 방법등이 고안될 수 있습니다.

    • 유예된 2년동안 방법을 만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탈세 방법은 개인이 알기는 어렵지요 세금이라든가 법에 능통한 사람들이 우리도 알게 모르게 할 수도 있기는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과세를 피해 해외 거래소를 이용하면 된다는 말이 많은데, 실제로 가능한지 고민이 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를 완전히 우회하기는 어렵습니다.

    세금 부과 기준에 따르면, 대한민국 거주자는 국내외 거래소에서 발생한 암호화폐 소득 모두를 신고해야 합니다. 해외 거래소를 이용하더라도 세금 의무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정부는 국제 금융 정보 교환 시스템(CRS)을 통해 해외 거래 기록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만약 신고를 누락하면 과태료나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외 거래소로 우회한다는 것은 위험성이 큽니다.

    동남아 거래소의 경우, 수수료가 낮거나 없는 곳이 있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거래소의 보안성과 신뢰도를 확인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수수료를 아끼려다 해킹이나 출금 문제 등 추가적인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해외 거래소를 이용한다고 해서 코인 과세를 완전히 우회할 수는 없습니다. 투명하게 거래 기록을 관리하고, 법적으로 신고를 철저히 하는 것이 안전한 방법입니다. 추가적인 고민이 있다면 전문가 상담을 권합니다.

  • 코인 과세를 유예하는 이유중에 아직 해외거래소에서 거래를 하는경우에 확실하게 정부당국에서 파악이 쉽지않다는 말이 있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