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남해안돌문어93
남해안돌문어9323.08.14

절에서 부처님께 108배를 하는 이유가 따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힘내라돌문어123입니다.

보통 절에가면 보살님들이 108배를 부처님께 하는데 108배를 하는 이유가

따로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14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교에서는 108가지의 번뇌를 가지고 있다고합니다. 그 번뇌를 끊기 위해서 108번의 절을 한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6가지 감각기관 x 6가지 인식대상 = 36가지 x 3(과거, 현재, 미래의 일) = 108가지의 번뇌가 발생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교에서는 인간의 모든 고민이나 고통을 번뇌라 일컫고 이는 집착(klesa)을 뜻하는데, 인간은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이나 물질에 집착하고 덧없는 것들이 영원할 것이라 믿으며 그러한 것에 집착하면 인간의 마음은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없으며 삶과 외부환경에 대하여 바르게 지각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번뇌를 백여덟 가지로 열거하고 있는데, 이는 눈, 귀, 코, 혀, 몸, 의지의 여섯 가지 감각기관에서 일어나는 색깔, 소리, 냄새, 맛, 감각, 의식의 여섯 가지 대상과 이들과 접촉해서 좋고, 나쁘고, 좋지도 않고 싫지도 않은 세 가지 인식작용이 상호작용하여 6×3=18로서 열여덟 가지 번뇌가 생긴다.


    그리고 색깔, 소리, 냄새, 맛, 감각, 의식에 대하여 즐겁고 기쁜 마음이 생기거나 괴롭고 언짢은 마음이 생기거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상태가 되는 세 가지 감정이 발생하여 6×3=18로서 열여덟 가지 번뇌가 생긴다.


    감각기관과 대상에 의한 번뇌를 합하면 서른여섯 가지 번뇌이며 이 번뇌는 다시 과거, 현재, 미래에 따른 번뇌가 있으므로 36×3=108로서 인간의 번뇌는 모두 백여덟 가지가 된다. 이 같은 번뇌에 빠져 흩어진 마음을 하나로 모아 삼매 혹은 자기초월에 이르도록 불교에서는 백팔 참회문을 외우며 백팔배로 수행하기를 권장한다.

    출처 : 상담학 사전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08번뇌를 끊고 성장하는 의미로 부처님에게 108번 절을 합니다.

    108번뇌는 불교에서 인간의 모든 고민이나 고통을 번뇌라 일컫고 이는 집착을 뜻하는데 인간은 자기 자신뿐 아니라 타인이나 물질에 집착하고 덧없는 것들이 영원할 것이라 믿으며 그러한 것에 집착하면 인간의 마음은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없으며 삶과 외부 환경에 대하여 바르게 지각할수 없게 되는데 이러한 번뇌를 108가지로 열거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08배는 108번뇌를 끊고 성장하려는 의미로서 하는 수행적 참선 행위 로서 의미가 부여된 것으로 그 이상의 신비한 효능은 없고 사실 부처님도 108배를 강조 하신 적도 없다고 합니다. 그냥 문화적으로 만들어진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08배는 108번뇌의 소멸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108번뇌는 중생의 근본 번뇌입니다

    이 108번뇌는 육근(六根)과 육진(六塵: 六境이라고도 함)이 서로 만날 때 생겨나는데

    108번뇌 이것은 우리의 흩어진 마음을 뜻합니다.

    절을 함으로서 번뇌를 소멸 시키고자 하는 바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