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공손한거북이
공손한거북이22.03.22

투명망토, 투명방패 원리가 어떻게 되는건가요?

예전에 영화 해리포터에 나온 투명망토가 현실에서 구현됐다는 걸 봤는데요.

최근에 투명방패라고 영국에서 개발됐다는 기사를 봤는데요.

완벽하게 투명해지진 않지만 물체의 뒤를 충분히 볼 수 있을 정도였습니다.

어떤 원리로 뒤에 있는 물체가 보이게 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해리포터처럼 완전히 사라진것처럼 보이게 하는것은 아직은 불가능하지만, 이론적으로 가능합니다.

    결국 투명하다는 것은, 실제로 물체가 사라진 것이 아니라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즉, 빛의 굴절을 이용하여 투명한 것 처럼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2019년 즈음의 과학기술로 만들어진 투명 망토 입니다.

    https://www.hani.co.kr/arti/science/future/913493.html


  • 안녕하세요.

    정보의 처리속도가 관건입니다.

    뒤쪽배경의 정보를 읽고 빠르게 앞쪽 스크린에 뒤쪽배경이미지를 보여주게되면 마치 투명한 것처럼 느끼게됩니다

    정보의 처리가 빠르면 빠를수록, 보여주는 이미지의 화질이 좋으면 좋을수록 더 투명하게 느낍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투명망토는 메타물질의 대표적 사례입니다. 우리가 사물을 볼 수 있는 건 빛의 반사 때문입니다. 반사된 빛이 우리 눈으로 들어와 물체의 색깔이나 형태를 보게 합니다. 반대로 빛이 100% 흡수되면 검게 보이고, 물체가 빛을 모두 투과시키면 투명하게 보입니다


  • 투명 망토나 투명 방패는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물체를 투과하거나 뒤를 볼 수 있도록 보여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투명 망토는 광학적 카메라와 노이즈 캔슬링 기술을 결합하여 빛을 반사하지 않고 물체를 투과하는 것으로 보이도록 만들어진다. 이는 카메라가 망토의 뒤에 있는 물체를 촬영하고 그 영상을 망토 앞쪽에 있는 디스플레이에 반영하여 시각적으로 투명해 보이도록 하는 방식이다. 비슷하게, 투명 방패는 광학적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물체를 투과하는 것으로 보이도록 만들어진다. 이러한 기술들은 아직 완벽하지는 않지만, 연구와 개발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