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이 어떻게 신용대출보다 높을수가 있죠?
주택담보대출이 어떻게 신용대출보다 높을수가 있죠. 뉴스에서 주담대 이자율이 신용대출을 앞질렀다는 이야기를 들었거든요. 어떻게 담보가 있는 대출이 신용이라는 무형의 자산보다 이율이 높을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에서는 1년동안 내보낼 수 있는 대출의 한도가 정해져 있는데 주담대 한도가 거의 다 소진되었습니다
이제는 금리를 높여도 사람들이 울며 겨자먹기로 대출이 나오는 은행을 찾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에 현재 신용대출보다 주담대 금리가 더 올라가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택담보대출이 어떻게 신용대출보다 높을 수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그렇게 되는 것은 현재 한국의 부동산 시장이 극한을 달리고 있기에
정부가 이를 규제하려고 하기에 그런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주담대는 장기 고정금리 비중이 커 금리 변동분을 미리 반영해 금리가 높게 책정되는 시기가 있습니다.
은행 수신 금리 상승, 자본 규제 강화로 주담대 비용이 증가하면 신용대출보다 높아질 수 있습니다.
담보 유무보다 대출 구조와 금리 환경이 금리를 결정하는 핵심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한국 시장의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면서 정부에서는 여러 규제를 시행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기준금리와 별도로 시장금리가 상승하고 있으며 은행의 가산금리 또한 시장금리에 맞춰 상승이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부동산 가격 상승을 막기위해 주담대의 이율을 올려 부동산 가격 안정화를 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대로 상당히 이례적이고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입니다.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금융당국의 담보 대출 규제로 일시적으로 담보 대출 금리를 올린 경우
신용대출 보다 담보대출의 경우 이자율 조정 속도가 다소 느림
은행 조달 비용 증가로 담보 대출 금리는 상승된 반면 신용대출 시장은 경쟁 격화로 이자율 상승 낮게 형성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담보가 있는 주택담보대출 이자율이 신용이라는 무형의 자산 대출보다 높아지는 현상은 언뜻 모순적으로 보이지만,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정책과 은행의 영업 전략, 시장 금리의 복합적인 요인들이 일시적으로 만들어내는 비정상적인 상황이에요.
금융당국이 주택담보대출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은행권에 대출 규제를 강화하고 총량 관리를 지시하면, 은행들은 주담대 금리를 올려 대출 수요를 조절하게 됩니다. 동시에 은행들은 우량 고객 유치를 위해 특정 신용대출 상품의 금리를 낮추기도 하는데, 이런 요인들이 맞물리면서 본래 더 안정적인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일시적으로 신용대출 금리를 앞지르는 왜곡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