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고려 시대의 과거 제도는 어떻게 운영되었나요?

고려 시대에는 유교적 사상을 바탕으로 과거 제도를 통해 관료를 선발했다고 들었습니다. 과거 제도는 어떤 과정으로 운영되었고, 관리 선발에서 어떤 공정성을 확보했나요? 과거 제도를 통해 나타난 고려 사회의 특징과, 현대 교육제도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동광 전문가
    이동광 전문가
    카이로스 아카데미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고려의 과거제도는 제술업, 명경업, 잡업이 있었으며 고려 시대에서는 명경업보다는 제술업이 우대되어 성행하였습니다.

    제술업에 합격한 자를 진사라고 하였으며 제술업에 합격한 자에 급을 나누어 갑, 을, 병으로 두었습니다. 공양왕 때 무과가 설치되었으나 실제로는 크게 성과를 나타내지 못했습니다.

    과거는 3년에 한 번 치르게 되었으며 초시와 국자감시, 동당감시 3단계로 실시하였고 국자감에서 3년 재학 시 국자감시가 면제되는 혜택이 있었습니다.

    과거제도가 우리 교육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유교 경전 중심의 교육이 지속되었습니다. 삼국시대부터 개화기에 이르기까지 4서 5경을 중심으로 교육하였습니다.

    고려나 조선은 물론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에도 충세지향적인 시험이 유행하였고 이는 학벌주의, 고시를 중시하였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과거의 고려와 조선시대처럼 학교가 수능을 준비하기 위한 기관으로 전락해버려 참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현재 우리나라 교육은 수능 관련 과목 만을 중시하는 태도를 지니고 있습니다. 우리 교육은 이러한 태도에서 벗어나 다양한 폭넓은 지식을 중시하는 교육이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