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중전의 출산은 누가 도왔나요?
조선시대 중전의 출산을 도운 이는 누구 였나요??혹시 제조상국이 돕기도 하였나요??
조선시대 중전의 출산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 해 주실분 계실까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중전산실청에서 출산을 도왔습니다.
산실청은 규정상 출산 예정일 3개월 전에 설치되고, 출산 후 7일째에 해체됐다고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문안이나 숙직 등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산모에게 특별한 건강상의 문제가 없으면 1개월 전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해체되는 시기 또한 경우에 따라 출산 후 7일이 지난 이후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산실청의 주요 업무는 산모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출산 장소인 산실을 배설하며, 필요시 산모와 신생아에게 제공할 약물들을 결정하는 일을 했습니다. 이러한 역할들은 내의원의 세 명의 제조와 의관, 의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고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육전조례 예전 내의원 산실청 조와 일제 강점기에 작성된 대군공주어탄생의 제 에 정리된 산실청의 직제를 보면
내의원 도제조 2명 , 내의원 제조 1명, 내의원 부제조 1명, 권초관 1명, 별입직어의 5명, 침의 1명, 의약동참 2명, 의녀2명, 별장무관 1명, 대령서원 4명, 전향주시관 1명, 범철관 1명, 택일관 1명입니다.
산실청에는 대개 내의원 도제조 이하 총 22명이 소속되었는데 경우에 따라 의관이나 서원 등이 추가되기도했고 출산 후 배출된 태를 길일을 택해 태봉에 묻는 장태 의례를 주관하는 안태사나 배태관을 산실청에 소속시키기도 하였으며
권초관은 특별히 다복하고 아들을 많이 둔 대신 가운데서 선정했는데, 출산 후 7일째 행하는 권초제를 주관하였으며 산실청은 규정상 출산 예쩡일 3개월 전에 설치되고 출산 수 7일때 해체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중전(中殿)은 왕의 후궁 중 가장 권력과 지위가 높은 곳으로, 왕과 왕비가 거주하며 후계자 탄생을 담당하였습니다. 이 때 출산을 도와주는 것은 왕비의 산모(産母)로 불리는 전문적인 여성인 조산사(助産師)나 산행(産匠) 등이었습니다.
조산사는 출산 전후의 모든 일을 책임지는 산모의 조력자로서, 출산 준비, 산모의 건강 관리, 산모와 태아의 상태 모니터링 등을 담당했습니다. 또한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위해 출산 시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필요한 경우 적극적으로 응급 처치를 해주는 역할도 했습니다.
산행은 출산 과정에서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위해 대기하면서 출산을 담당하는 전문적인 사람으로, 조산사와 함께 출산 시 필요한 응급 처치를 수행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조선시대 중전에서 출산을 도왔던 사람은 왕비의 산모인 조산사나 산행 등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조선시대 중전의 출산은 주로 제조상궁을 비롯해 여타 상궁들, 궁녀들이 도왔으며, 당시 산부인과 의사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 이들이 사실상 전통적인 방법으로 중전의 출산을 도울 수밖에 없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중전의 출산을 도와주던 사람은 조선의 산부인과 의사였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현대적인 의학적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 출산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의 의학서적을 참고하여 전통적인 방법으로 출산을 지원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출산을 도와주는 전문인사인 산모(産婆)가 있었습니다. 산모는 대개 여성으로 구성된 조합으로 이루어졌으며, 출산 전후의 케어뿐만 아니라 태교, 수유 등을 담당했습니다. 또한 출산 중 발생하는 문제나 위험 상황에 대처하는 데도 능숙했습니다.
제조상국은 출산을 지원하기보다는 정부에서는 주로 산업 발전을 중시했으며, 농촌지역에서는 인근 마을에서 서로 돕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중전이 왕실에서 임신과 출산을 담당하는 권위 있는 지위였기 때문에, 중전의 출산 기술을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정치적으로 중요한 문제였습니다. 따라서 중전의 출산 기술과 지식을 연구하고 발전시키는 노력도 많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노력들은 조선시대 의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