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귀은 두가지맛만 느낀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펭귄은 매우 특이하게 두가지맛만 느낀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두가지맛 어떤맛을 느끼는것인지 그리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네, 질문해주신 것과 같이 펭귄의 미각은 조류 중에서도 특히 특이한 사례로 꼽히고 있는데요, 즉, 우리가 아는 다섯 가지 기본 미각(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 중에서 펭귄은 단맛·쓴맛·감칠맛을 전혀 구별하지 못하며 짠맛과 신맛만을 느낄 수 있습니다. 펭귄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단맛(T1R2), 감칠맛(T1R1/T1R3), 쓴맛(T2R 계열)을 감지하는 유전자가 모두 사라져 있거나 작동하지 않는 상태였는데요, 즉 남아 있는 것은 짠맛(ENaC 채널)과 신맛(PKD2L1 유전자 관련)을 담당하는 경로뿐이었습니다. 펭귄은 주로 물고기, 오징어, 크릴 같은 해양 생물을 통째로 삼켜서 먹으며, 씹어서 맛을 음미하는 과정이 거의 없기 때문에, 다양한 미각 수용체가 진화적으로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펭귄은 남극과 아한대의 차가운 환경에 적응한 새인데, 차가운 온도에서는 미각 수용체(특히 단맛과 감칠맛 관련 수용체)가 잘 작동하지 않는데요, 이런 환경적 압력이 오랜 세월 작용하면서, 해당 유전자들이 퇴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펭귄은 짠맛과 신맛만 느낄 수 있으며, 이는 진화 과정에서 단맛, 쓴맛, 감칠맛을 감지하는 미각 수용체 유전자를 잃었기 때문입니다. 펭귄의 주 서식지인 남극의 극저온 환경에서는 단맛, 쓴맛, 감칠맛 수용체가 제대로 기능하기 어렵고, 먹이를 씹지 않고 통째로 삼키는 식습관 때문에 맛을 구별할 필요성이 적어 해당 유전자들이 퇴화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결과적으로 기능이 유지된 짠맛과 신맛에 대한 감각만 남게 되었습니다.
결론을 먼저 말씀드리면 단맛, 쓴맛, 감칠맛을 느끼는 유전자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는 진화의 흔적으로 보는 경우가 많은데, 펭귄이 극지방의 혹독한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맛을 느끼는 데 필수적인 특정 유전자들을 잃어버렸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단맛, 쓴맛, 감칠맛을 느끼는 미각 수용체는 온도에 민감하여 극도로 추운 환경에서는 제 기능을 하지 못했을 수 있다는 것이죠.
또한 펭귄은 주로 물고기를 통째로 삼키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맛을 굳이 느끼지 않아도 생존에 지장이 없었고, 그 때문에 미각이 퇴화했을 수 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펭귄은 짠맛과 신맛만 느낄수있다고합니다.
추운환경에서는 단맛이나 감칠맛, 쓴맛을 찾기어렵고,
해당 감각과 관련된 먹이를 주로 섭취하지않기떄문에
굳이 해당감각들을 살려놓을 필요가 없었던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펭귄은 유전자 소실로인해서 단맛, 감칠맛, 쓴맛 수용체가 퇴화하고, 짠맛과 신맛만 느낄 수 있다고합니다.
빙하 환경에서 낮은 체온이 맛 수용체 단백질의 기능을 제한하고, 먹이가 주로 생선, 해산물이라 다른미각이 진화적으로 불필요해서 퇴회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