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했다는데 다시 물가가 상승하는 추세로 전환할까요?
우리나라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가 2.2%를 기록하면서 5개월만에 2%대 위로 올라왔다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다시 물가가 상승하는 추세로 전환할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1월에 고개를 든 것은 명절 이슈도 포함이 되어 있기 때문에 추세로 보긴 어렵습니다.
앞으로 2월까지의 물가 흐름을 봐야 추세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현재 물가가 올라간 사유는 환율의 상승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여 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1월 소비자 물가가 상승한 이유는 설 명절이 껴 있었기 때문이고, 물가가 다시 상승세로 전환 했다고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물가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금리를 동결을 했습니다. 금리를 동결을 했을 경우 이론적으로는 물가가 오르지 않아야 하는 것이 정상입니다. 하지만 경기가 안 좋은 경우 물가가 상승을 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1월 소비자물가 2.23퍼센트 상승한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최근 환율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로 인해서
물가가 상승하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를 올리는 것은 독과점을 하고 있는 기업과 업체들 그리고 물가가 올라도 소비를 지속할 수 있는 우리나라 상위권 부자들이 이끌어 가고 있습니다 저 같은 저도 득점들은 소비를 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니까 끊임없이 올라가는 것이겠지요 우리나라 금리 영향도 있겠지만 금리 영향과 상관없이 끊임없이 소비를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1월 2% 이상을 기록하면서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지만
아직은 농산물, 석유류 등의 가격 변동으로 인한 일시적 요인일 가능성일 수도 있고
향후 2~3개월의 물가 흐름이 추세를 정할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1월 소비자물가가 다시 2프로 대로 오르긴 했지만 원달라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 그리고 국제원유가격 상승으로 인한 부분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조만간 다시 1프로대로 물가는 내려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1월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국제유가와 환율 상승입니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으며, 유가와 환율이 안정화되면 물가 상승세도 꺾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경제 회복과 함께 소비가 증가하면 수요 측면에서 물가 상승 압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월 물가 상승률만으로는 물가 상승 추세로 전환될지 여부를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좀 더 추이를 지켜봐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마 금리 인하가 이제서야 실물 경제에 반영이 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다시 물가가 온전한 상승 추세에 진입한 것인지는 좀 더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