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 저축 VS 세로 저축? 정확하게 무엇이고 장단점은 ??
제테크 공부를 하다 보니 가로저축이다 세로저축이다 하는 말씀을 자주 듣는데
이 두개가 정확하게 뭐고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저 역시 제테크 및 보험영업을 하다보면 아래 내용으로 많이 설명을 드리는데요.
말이 어려워서 그렇지 크게 어려운 것은 아닙니다.
1)세로저축
세로저축은 말 그대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돈을 모아서 쓰고
다시 모아서 쓰고 하는 방식입니다.
빠르게 자금을 모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부분 소비하고 나면 통장이 텅 비기 때문에
결국 그때그때 필요한 금액은 조달할 수 있겠지만
결국에는 시간으로 얻을 수 있는 '이자'부분에서는
큰 이득은 취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가로저축이 개념이 나오게 됩니다.
2)가로저축
통장을 쪼개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한번에 여러가지를 준비해서 장기적으로 가져가는 계획적인 저축입니다.
재테크를 막 시작하는 사회초년생의 경우 자금력이 있는 중장년층대비
'시간'이라는 자원이 훨씬 많습니다.
바로 이 시간을 이용하여 저축 수익을 극대화 하는 것이 가로저축의 개념입니다.
가로저축의 개념
사회 초년생 일 때에는 한번에 많은 돈을 준비해야 하는
가로저축이 부담스럽겠지만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레 급여도 올라가게 되면
여유자금이 지금보다 많아지게 되며 향후에는 훨씬 여유롭게 목적 자금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가로저축으로 목적하는 자금을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현금 유동성을 고려하여 목적에 맞는 금융상품을 골라 저축하여야 합니다.
10년 이상을 바라보고 저축하는 중장기 플랜의 경우
이자소득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금융소득으로 인한 비과세혜택까지 따져보아야 합니다.
(단기)자동차 : 현금회수가 빠른 예적금
(단기)결혼자금 : 예적금 및 여유자금 투입
(중기)주택마련 : 주택청약통장, 예적금, 여유자금으로 투자(ELB, ELS, 펀드, 주식, 부동산 등)
(장기)노후대비 : 연금보험, 종신보험, 부동산 등
정리하자면 사회초년생일 경우
앞으로 경제활동을 해야 할 시간이 길기 때문에
통장쪼개기로 설정한 저축(투자) 금액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세로저축보다는 가로저축을 지향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