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류현상중 제트 기류는 무엇이며 원리는 뭔가요?
지구의 날씨릉 보면 대류 현상이 굉장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기온이 올라가고 내려가며 수증기가 이동하게 됩니다
이러한 대류 현상 중에서 제트 기류는 어떤 원리로 생기는 거며 무슨 현상을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제트 기류는 대류권 상층인 8000~1만m 사이에 발달한 좁고 강한 기류입니다. 풍속은 시속 100~250㎞ 정도 되고, 지구 자전과 태양열로 인해 형성됩니다. 극지방의 찬 공기와 열대지방 더운 공기가 만나 강한 기류를 만들어내는데, 뱀처럼 구불구불한 띠 형태로 북위 30~60도의 중위도를 오르내리며 기상 변화를 일으키게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제트기류는 대류현상과 밀접하게 관련된 대기의 빠른 흐름으로서 주로 대류권 상부에서 발생하며 지구의 날씨와 기후에 큰 영향을 주지요. 지구의 회전과 대기 대류, 기온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이 흐름은 적도와 극지방간의 기온차이로 발생하며 적도지역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아 대류활동이 활발하고 그로인하여 따뜻한 공기가 위로 상승하게 되는반면 극지역은 차가운 공기로 인해 이 둘의 차이는 큰 기압차이를 유발하게 되며 기압차이로 인하여 빠르게 움직이는 현상을 나타내 줍니다. 또한 이들의 차이와 더불어 지구의 자전에 따라 코리올리 효과가 제트 기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하며 북반구에선 오른쪽으로 남반구에선 왼쪽으로 휘게 해줍니다~ 보통 이 흐름은 대류권 상층부인 9~12km고도에서 발생하며 시속 100~400km의 빠른 흐름으로서 겨울철에 기온차이가 더 커지면서 제트 기류가 강화됩니다. 제트기류는 기상현상에 큰 영향을 주며 기압계를 따라 흐르면서 저기압과 고기압 시스템을 형성하여 이동하며 폭풍이나 비 등을 야기시키게 합니다.